6.1 현대 포트폴리오 이론
💸 평균-분산 최적화
예상 수익률과 리스크의 상관 관계를 활용해 포트폴리오 최적화하는 기법.
6.1.1 수익률의 표준편차
💸
자산 가격이 평균값에서 벗어나는 정도, 즉 리스크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주식 시장에서의 리스크는 흔히 주가의 변동성을 의미한다.
- 정규분포 그래프에서 예상 수익률은 평균값인 μ로 나타내고, 리스크는 표준편차인 σ로 나타낸다.
- 어떤 값이 평균에서 떨어진 정도 ==
편차
- (편차^2)의 합의 평균 ==
분산
- 분산의 제곱근 ==
표준편차
](https://velog.velcdn.com/images/yeochaeeon/post/b372a653-a46c-4db9-a95e-dca5ecce3ebc/image.png)
6.1.2 효율적 투자선
💸
투자자가 인내할 수 있는 리스크 수준에서 최상의 기대 수익률을 제공하는 포트폴리오들의 집합.

- X 축은 리스크 ( 표준편차 )
- Y축은 예상 수익률 ( 평균 )
- 빨간 점은 개별 포트폴리오
- 효율적 투자선 위에 위치한 포트폴리오는 주어진 리스크에서 최대 수익을 낸다.
- 효율적 투자선 위에 위치한 포트폴리오에 따라 자산을 배분하는 것이 현명하다.
시총 상위 4 종목으로 효율적 투자선 구하기
먼저 일간 수익률, 연간 수익률, 일간 리스크, 연간 리스크를 구해야한다.
daily_ret = df.pct_change()
annual_ret = daily_ret.mean() * 252
daily_cov = daily_ret.cov()
annual_cov = daily_cov * 252
daily_ret 은 일간 수익률이다
annual_ret : daily_ret의 평균에 1년 평균 개장일을 곱하여 연간수익률을 계산한다.
daily_cov : 일간 변동률의 공분산으로 일간 리스크값을 구한다.
annual_cov : 일간 공분산에 개장일을 곱해 연간 공분산을 구한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 4종목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20,000개 만든다.
- 각각의 포트폴리오별로 수익률, 리스크, 종목비중을 데이터 프레임으로 만들어보자.
- 만든 df를 산점도로 출력해 효율적 투자선을 확인해보자.
6.2 샤프 지수와 포트폴리오 최적화
6.2.1 샤프지수
💸
측정된 위험 단위당 수익률을 계산함.
수익률의 표준편차포트폴리오 예상 수익률−무위험률
6.2.2 포트폴리오 최적화
Sharpe 지수를 이용하여 측정된 위험 단위당 수익이 제일 높은 포트폴리오를 구할 수 있다.
- 위험 단위당 수익률이 가장 높은 포트폴리오는
Sharpe 값이 높은 행을 찾고,
- 가장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는
Risk 값이 가장 낮은 행을 찾으면 된다.
⭐ : 샤프지수가 가장 높은 포트폴리오
❌ : Risk 가 가장 낮은 포트폴리오

6.3 볼린저 밴드 지표
💸
볼린저 밴드는 주가의 변동이 표준 정규 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에서 주가의 위아래에 밴드를 표시함으로써 주가의 상대적인 높낮이를 알려준다.
6.3.1 볼린저 밴드 구하기
- 볼린저 밴드는 주가의 20일 이동 평균선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고점을 나타내는 상단 밴드와 상대적인 저점을 나타내는 하단 밴드로 구성된다.
📈 표준 볼린저 밴드 공식
- 상단 볼린저 밴드 = 중간 볼린저 밴드 + (2 x 표준편차)
- 중단 볼린저 밴드 = 종가의 20일 이동평균
- 하단 볼린저 밴드 = 중간 볼린저 밴드 - (2 x 표준편차)
6.3.2 볼린저 밴드 지표 1 - %b
- 주가가 볼린저 밴드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주가가 상단 밴드에 있으면 1, 중간에 있으면 0.5, 하단에 있으면 0 이다.
상단 볼린저 밴드−하단 볼린저 밴드종가−하단 볼린저 밴드
6.3.3 볼린저 밴드 지표 2 - 밴드폭
- 상단과 하단 볼린저 밴드 사이의 폭
- 스퀴즈를 확인하는데 유용하다
- 스퀴즈란 변동성이 극히 낮은 수준까지 떨어져 곧이어 변동성 증가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
중간 볼린저 밴드상단 볼린저 밴드−하단 볼린저 밴드
6.4 볼린저 밴드 매매기법
볼린저 밴드에 관한 잘못된 통념 ⇒ 상단 밴드에서 매도하고, 하단 밴드에서 매수하기.
- 밴드 태그가 일어났다고 해서 그 자체로 매수 신호나 매도 신호가 되는 것은 아니다.
- 존 볼린저가 제시한 ‘변동성 돌파’, ‘추세 추종’, ‘반전’이라는 세 가지 매매기법 중에서 뒤의 두가지만 살펴본다.
- 변동성 돌파 매매기법의 ‘공매도’ 는 우리나라에서 일반인이 흔히 하기 쉽지 않기 때문.
6.4.1 볼린저 밴드를 이용한 추세 추종 매매기법
상승 추세에 매수하고 하락 추세에 매도하는 기법
- 단순의 %b 지표만 이용해서 주가가 볼린저 상/하단 밴드에 태그했는지 여부로만 판단하지 않음.
- 현금흐름지표(MFI)나 일중강도 같은 거래량 관련 지표를 함께 이용해서 확증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매수/매도에 들어간다.
📈 매수
주가가 상단 밴드에 접근하며, 지표가 강세를 확증할 때만 매수
(%b가 0.8 보다 크고, MFI 가 80보다 클 때)
📉 매도
주가가 하단 밴드에 접근하며, 지표가 약세를 확증할 때만 매수
(%b가 0.2 보다 작고, MFI 가 20보다 클 때)
MFI ( 현금흐름지표, Money Flow Index )
- 일반적으로 주가를 나타낼 때 종가를 사용하지만 중심 가격을 사용하면 트레이딩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주가 지점을 더 잘 나타낼 수 있다.
📈
중심 가격 = (일정기간의 고가 + 저가 + 종가) / 3
현금 흐름 = 중심 가격 * 거래량
- 다른 지표들이 보통 가격 한 가지만 분석하는 데 반해, MFI는 가격과 거래량을 동시에 분석하므로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더 높다고 볼 수 있다.
6.4.2 볼린저 밴드를 이용한 반전 매매기법
주가가 반전하는 지점을 찾아내 매수 또는 매도하는 기법이다.
- 주가가 하단 밴드를 여러 차례 태그하는 과정에서 강세 지표가 발생하면 → 매수
- 주가가 상단 밴드를 여러 차례 태그하는 과정에서 약세 지표가 발생하면 → 매도
📈 매수
주가가 하단 밴드 부근에서 W형 패턴을 나타내고, 강세 지표가 확증할 때만 매수
(%b가 0.05 보다 작고, ll%가 0보다 클 때)
📉 매도
상단 밴드 근처에서 일련의 주가 태그가 일어나며, 약세 지표가 확증할 때만 매수
(%b가 0.95 보다 크고, ll%가 0보다 작을 때)
일중 강도율 (ll%)
거래 범위에서 종가의 위치를 토대로 주식 종목의 자금 흐름을 설명한다.
- 거래 범위에서 종가의 위치를 토대로 주식 종목의 자금 흐름이 II 인데, 21일 간의 II 을 거래량으로 가중평균 낸 것이 일중 강도율이다.
일중강도=고가−저가2∗종가−고가−저가∗거래량
일중강도율=거래량의21일 합일중강도의 21일 합∗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