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호이스팅, 함수, 변수

yeols·2023년 9월 2일
0

Javascript

목록 보기
1/8
post-thumbnail

호이스팅이란?

변수 선언문이 코드의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처럼 동작하는 자바스크립트 고유의 특징을 변수 호이스팅(variable hoisting) 이라 한다.
변수 선언뿐 아니라 var, let, const, function, function*, class 키워드를 사용해서 선언하는 모든 식별자는 호이스팅이 된다. 모든 선언문은 런타임 이전 단계에서 먼저 실행되기 때문이다.

함수 호이스팅과 변수 호이스팅은 미묘한 차이가 있다.

var 키워드를 사용한 변수 선언문 이전에 변수를 참조하면 변수 호이스팅에 의해 undefined로 평가되지만,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한 함수를 함수 선언문 이전에 호출하게 되면 함수 호이스팅에 의해 호출이 가능하다.

하지만 함수 표현식은 변수에 할당되는 값이 함수 리터럴인 문이다.
앞서 말했듯 변수 선언은 렁타임 이전에 실행되어 undefined로 초기화가 되지만 변수 할당문의 값은 할당문이 실행되는 지점, 즉 런타임에 평가되므로 함수 표현식의 함수 리터럴도 할당문이 실행되는 시점에 평가되어 함수 객체가 된다.

따라서 함수 표현식으로 함수를 정의하면 함수 호이스팅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게된다.

함수 호이스팅은 함수를 호출하기 전에 반드시 함수를 선언해야 한다는 규칙을 무시하기에 함수 선언문 대신 함수 표현식을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고 한다.


참조에 의한 전달과 외부 상태의 변경

원시 값은 값에 의한 전달, 객체는 참조에 의한 전달 방식으로 동작한다.
매개변수도 함수 몸체 내부에서 변수와 동일하게 취급되므로 매개변수 또한 타입에 따라 값에 의한 전달, 참조에 의한 전달 방식을 그대로 따른다.

function changeVal(primitive, obj) {
  primitive += 100;
  obj.name = 'Kim';
}

const num = 100;
const person = {name: 'Lee'};

console.log(num); // 100
console.log(person); // {name: 'Lee'}

changeVal(num, person);

console.log(num); // 100
console.log(person); // {name: 'Kim'}

원시 타입 인수를 전달받은 매개변수 primitive의 경우,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므로 직접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재할당을 통해 할당된 원시 값을 새로운 원시 값으로 교체했고, 객체 타입 인수를 전달받은 매개변수 obj의 경우,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이므로 직접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재할당 없이 직접 할당된 객체를 변경한다.

원시 타입 인수는 값 자체가 복사되어 매개변수에 전달되기 때문에 함수 몸체에서 그 값을 변경해도 원본은 훼손되지 않는다.
만면 객체 타입 인수는 참조 값이 복사되어 매개변수에 전달되기 때문에 함수 몸체에서 참조 값을 통해 객체를 변경할 경우 원본이 훼손된다.


재귀 함수

함수가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것을 재귀 호출(recursive call)이라 한다. 재귀 함수(recursive function)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행위, 즉 재귀 호출을 수행하는 함수를 말한다.

예제:

function countdown(n) {
  for (let i = n; i >= 0; i--) console.log(i);
}

countdown 함수는 문제없이 잘 작동하지만 반복문 없이 재귀 함수를 사용해 구현할 수 있다.

function countdown(n) {
  if(n < 0) return;
  console.log(n);
  countdown(n - 1);//재귀 호출
}

countdown(10);

위처럼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재귀 함수를 사용하면 반복되는 처리를 반복문 없이 구현할 수 있다.

//팩토리얼(계승)은 1부터 자신까지의 모든 양의 정수의 곱이다.
// n! = 1*2*....*(n-1)*n

function factorial(n) {
 // 탈출 조건 : n이  1 이하일 때 재귀 호출을 멈춘다.
  if(n <= 1) return 1;
  
  //재귀 호출
   return  n * factorial(n - 1);
}

console.log(factorial(0)); // 1
console.log(factorial(1)); // 1
console.log(factorial(2)); // 2
console.log(factorial(3)); // 6
console.log(factorial(4)); // 24
console.log(factorial(5)); // 120

factorial 함수 내부에서 자기 자신을 호출할 때 사용한 식별자 factorial은 함수 이름이다. 함수 이름은 함수 몸체 내부에서만 유효하다. 따라서 함수 내부에서는 함수 이름을 사용해 자기 자신을 호출할 수 있다. 함수 표현식으로 정의한 함수 내부에서는 함수 이름은 물론 함수를 가리키는 식별자로도 자기 자신을 재귀 호출할 수 있다. 단, 함수 외부에서 함수를 홀출할 때는 반드시 함수를 가리키는 식별자로 해야한다.

const factorial = function foo(n) {
  
  //탈출 조건: n이 1이하일 때 재귀 호출을 멈춘다.
  if(n <= 1) return 1;
  
  //함수를 가리키는 식별자로 자기 자신을 재귀 호출
  return n * factorial(n - 1);
  
  
  //함수 이름으로 자기 자신을 재귀 호출할 수도 있다.
  //console.log(factorial === foo); // true
  //return n * foo(n - 1);
};

console.log(factorial(5)); // 120

재귀 함수는 자신을 무한 재귀 호출한다. 따라서 재귀 함수 내에는 재귀 호출을 멈출 수 있는 탈출 조건을 반드시 만들어야 한다.
탈출 조건이 없어면 함수가 무한 호출되어 스택 오버플로(stack overflow)에러가 발생한다.

대부분 재귀 함수는 for문이나 while 문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재귀 함수는 반복문을 사용하는 것보다 재귀 함수를 사용하는 편이 더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울 때만 한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늘은 모던 자바스크립트 딥 다이브 책을 보다가
함수 부부을 보게 되었는데, 중요하다 생각되는 부분과 3번을 읽어도 잘 이해가 안갔던 부분만 중점으로 작성했다.
아직도 완벽히 이해하지 못한 부분도 있지만 이해가 될때까지 읽다보면 이해하게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리고 재귀 함수를 만났는데 역시 알고리즘을 조금씩이라도 공부를 해야겠다..
처음에는 왜 이렇게 되나 싶었는데 보고 또 보고 하다보니 어느정도 머리속에 들어왔지만
누군가가 물어본다면 설명해 줄 자신도 없고, 응용도 아직 인거같다...

profile
흠..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