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Object)
자바스크립트는 객체(object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자바스크립트를 구성하는 거의 모든 것
이 객체이다.
객체 타입 object / reference type
은 다양한 타입의 값을 하나의 단위로 구성한 복합적인 자료구조이다.
객체는 0개 이상의 프로퍼티로 구성된 집합이며, 프로퍼티는 key
와 value
로 구성된다.
let person = {
//key value
name: 'Gwon', //한 쌍을 프로퍼티라고 한다.
age: 30
};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값은 프로퍼티 값이 될 수 있다. 함수도 프로퍼티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프로퍼티 값이 함수일 경우, 일반 함수와 구분하기위해 메서드(method)
라 부른다.
let counter = {
num: 0, // 프로퍼티
increase: function (){ // 메서드(method)
this.num++;
}
};
프로퍼티와 메서드의 역할
객체 리터럴에 의한 객체 생성
자바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 기반 객체지향 언어로서 클래스 기반 객체지향 언어와는 달리 다양한 객체 생성 방법을 지원함.
객체 생성 방법 중에서 가장 일반적이고 간단한 방법은 객체 리터럴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객체 리터럴은 중괄호 내에 0개 이상의 프로퍼티를 정의하며 변수에 할당되는 시점에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객체 리터럴을 해석해 객체를 생성한다.
let person = {
name: 'Gwon',
sayHello: function () {
console.log(`Hello! My name is ${this.name}.`);
}
};
console.log(typeof person); // object
console.log(person); //{name: 'Gwon', sayHello: ƒ
중괄호 내에 프로퍼티를 정의하지 않으면 빈 객체가 생성된다.
let empty = {}; // 빈 객체
console.log(typeof empty); // object
프로퍼티
객체는 프로퍼티의 집합이며, 프로퍼티는 키와 값으로 구성된다.
var person = {
// 프로퍼티 키는 name, 프로퍼티 값은 'Gwon'
name: 'Gwon',
// 프로퍼티 키는 age, 프로퍼티 값은 20
age: 20
};
프로퍼티를 나열할땐 콤마(,)
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마지막 프로퍼티 뒤에는 쉼표를 사용하지 않으나 사용해도 상관없다.
프로퍼티 키와 프로퍼티 값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값은 다음과 같다.
객체에 대해 모든게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 부분들을 정리했다.
다시 객체를 복습하는날 위에 나열된 부분을 제외하고 정리해보자.
지금까지 두서없이 공부를 했는데 다음주부터는 계획을 세우고 진행해보려한다.
잘 될진 모르겠지만 세운 계획을 최대한 맞춰보려 노력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