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풀기] 프로그래머스 달리기 경주

yeols·2023년 9월 28일
0

Algorithm

목록 보기
13/16
post-thumbnail

프로그래머스 달리기 경주

문제 설명

얀에서는 매년 달리기 경주가 열립니다. 해설진들은 선수들이 자기 바로 앞의 선수를 추월할 때 추월한 선수의 이름을 부릅니다. 예를 들어 1등부터 3등까지 "mumu", "soe", "poe" 선수들이 순서대로 달리고 있을 때, 해설진이 "soe"선수를 불렀다면 2등인 "soe" 선수가 1등인 "mumu" 선수를 추월했다는 것입니다. 즉 "soe" 선수가 1등, "mumu" 선수가 2등으로 바뀝니다.

선수들의 이름이 1등부터 현재 등수 순서대로 담긴 문자열 배열 players와 해설진이 부른 이름을 담은 문자열 배열 calling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경주가 끝났을 때 선수들의 이름을 1등부터 등수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입출력 예

playerscallingsresult
["mumu", "soe", "poe", "kai", "mine"]["kai", "kai", "mine", "mine"]["mumu", "kai", "mine", "soe", "poe"]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4등인 "kai" 선수가 2번 추월하여 2등이 되고 앞서 3등, 2등인 "poe", "soe" 선수는 4등, 3등이 됩니다. 5등인 "mine" 선수가 2번 추월하여 4등, 3등인 "poe", "soe" 선수가 5등, 4등이 되고 경주가 끝납니다. 1등부터 배열에 담으면 ["mumu", "kai", "mine", "soe", "poe"]이 됩니다.


나의 문제 풀이

function solution(players, callings) {
  callings.forEach(call => {
    const currentIndex = players.indexOf(call);
    [players[currentIndex - 1], players[currentIndex]] = [players[currentIndex],
      players[currentIndex - 1]]
  });
  return players;
}

나의 문제 풀이 해설

처음 문제를보고 접근방법을 떠올린게 calling을 반복문 돌리면서 calling에 값을 players에서 indexOf로 찾아서 그 index값으로 players를 구조분해해서 두 값의 위치를 바꾸자고 생각했다. 하지만 시간복잡도에서 탈락했다.
위와 같이 반복문이 하나 같아보이지만 indexOf도 내부에서 반복문을 돌기 때문에 데이터가 많아질수록 시간복잡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나의 문제풀이는 O(n2)이다.


다른 사람의 문제 풀이

function solution(players, callings) {
  const playersObj = {};
  const rankObj = {};

  players.forEach((player, index) =>{
    playersObj[player] = index + 1;
    rankObj[index + 1] = player;
  });

  callings.forEach(call => {
    const lost = rankObj[playersObj[call] - 1];

    rankObj[playersObj[call]] = lost;
    rankObj[playersObj[lost]] = call;
    playersObj[call] -= 1;
    playersObj[lost] += 1;

  });

  return Object.values(rankObj);
}

다른 사람의 문제 풀이 해설

나와는 다르게 해쉬구조를 갖는 오브젝트로 풀어냈다.
반복문 안에 반복문을 사용하지 않고 O(n)으로 풀어낸다.
선수이름을 key, 랭크를 value를 갖는 Object와 랭크를 key 선수이름을 value를 갖는 Object 두가지를 생성한다.

첫번째 반복문에서 players에 담긴 값을 위의 조건대로 Object 프로퍼티를 생성하고
두번째 반복문에서 callings에 담긴 값의 전 index 선수를 찾아 lost에 넣고
rankObj에서 그 값으로 서로 순서를 바꾼다. 그리고 playersObj의 call된 선수의 value를 -1 하고 lost에 담긴 선수의 value를 +1 시킨다.

그리고 rankObj의 value를 배열로 바꿔 return한다.


후기

시간 복잡도를 생각하지않고 정답만 찾은거 같다. 인덱스를 찾는 메서드들도 내부에서는 반복문을 통해 작동된다는것을 간과한것이다. 배열과 배열을 비교할 때에는 항상 해쉬구조를 염두하고 문제를 풀도록하자.

profile
흠..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