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의 값을 알면 Y의 값을 바로 식별할 수 있으며 X의 값에 의해 Y의 값이 달라지면 X를 결정자, Y를 종속자라고 한다.
이는 Y가 X에 함수적으로 종속(X->Y) 된다고 한다.
⭐️ 정규화가 잘된 테이블일수록 결정자는 PK 하나이고 종속자가 여러 개인 구조를 가진다.
종속관계를 잘 알아야 불필요한 데이터 중복은 줄이고 더욱 논리적으로 만들 수 있게 함
기본키가 종속자이며, 기본키가 여러 속성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기본키를 구성하는 모든 속성이 포함된 부분이나 종속자일 경우

릴레이션에서 종속자가 기본키가 아닌 다른 속성에 종속되거나, 기본키가 여러 속성으로 구성되어 있을경우 기본키를 구성하는 속성 중 일부만 종속된 경우

X가 Y의 함수적 종속이 되고 Y가 Z의 함수적 종속이 되면 X가 Z의 함수적 종속되는 것을 의미 (X->Y->Z)

id를 알면 dept_id를 알 수 있고 dept_id를 알면 dept_name을 알 수 있다. 따라서 id를 알면 dept_name을 알 수 있으므로 이행적 함수 종속 관계이다.
참고
https://dodo000.tistory.com/20
https://congsoony.tistory.com/240
https://ju-hy.tistory.com/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