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 회로


  • 현재의 입력값들만 이용하여 출력값을 결정하는 회로
  • 입력 신호들을 받는 즉시 그들을 조합하여 최종 출력을 발생시킨다.
  • 부울함수 게이트들만 이용하여 구현(기억소자 X)



조합회로의 분석방법

  • 부울함수를 이용한 분석
  • 진리표를 이용한 분석
  • 입출력 신호 파형을 이용한 분석


조합회로 설계 절차

1) 구현할 기능 표현
2) 입력 및 출력 변수 결정
3) 입출력 관계 분석해 진리표 작성
4) 카르노맵을 이용해 간략화된 부울함수 유도
5) 회로 구성



조합회로 종류

1. 가산기

  • 1) 반가산기(HA) : 2bit(a,b) => 2bit(Carry, Sum)
    2) 전가산기(FA) : 3bit(a,b,c) => 2bit(Carry, Sum)
    3) 병렬가산기(PA) : 여러 비트들로 이루어진 2진수들 간의 덧셈을 수행(n개의 FA로 구성됨)

2. 인코더 :

  • 2^n bit => 입력 값에 대응되는 2진 코드
  • 우선순위 인코더 :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기능을 가진 인코더
    두 개 이상의 입력들이 동시에 1로 세트된 경우, 그 중 우선순위가 높은 입력에 대한 BCD 값을 출력하는 조합회로

3. 디코더(해독기) :

  • n bit => 2^n bit
    입력값에 따라 2^n 개의 출력들 중 하나를 지정
  • enable 신호가 있는 디코더
    • En=0 ) 활성화 상태
    • En=1 ) 비활성화 상태 (어떤 출력도 선택되지 않음)

4. 그레이코드 변환기 : n bit => n bit

  • 2진코드 => 그레이코드
    • 그레이코드의 MSB = 2진코드의 MSB
    • Gn = Bn+1 (XOR) Bn
  • 그레이코드 => 2진코드
    • 2진코드의 MSB = 그레이코드의 MSB
    • Bn = Gn (XOR) Gn+1

5. 비교기
1) 단순 비교기 :

  • 입력 값들의 동일성 비교
  • 입력의 각 비트에 대해 XNOR => AND
    2) 크기 비교기 :
  • 입력 값들의 크기 비교

5. 멀티플렉서(MUX) :

  • 여러 입력 신호들 중 하나만 출력 신호로 내보냄(데이터 선택기)
  • 입력(n bit) + 선택신호(Log2n bit)

6. 디멀티플렉서(DEMUX)

  • 한 개의 입력 신호를 여러 출력 선들 중 하나로 출력(데이터 분배기)

7. 가감산기

  • 덧셈과 뺄셈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산술회로
  • 제어신호(M : M=0덧셈 | M=1뺄셈)

8. BCD 가산기

  • BCD코드(0000~1001)로 표현된 10진수들간의 덧셈을 수행
  • 합이 9보다 큰 경우 6을 더해 올림수를 발생시킨다.
  • 올림수가 발생하면 6을 더한다.

9. 패리티 발생기

  • 1) 짝수 패리티 발생기 : 모든 데이터 비트들 간에 XOR 연산 수행
  • 2) 홀수 패리티 발생기 : 모든 데이터 비트들 간에 XOR 연산 수행 후 결과값을 반전시킴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