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Data Redis는 2가지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1\. RedisTemplate2\. RedisRepository 오늘은 두번째로 소개한 redisRepository 방식을 사용할 것이다.redisRepository는 Spring Data JPA와 같이
지난 게시물에서는 redisRepository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해보았다.TTL이 없는 set element 이슈로 인해 이번에는 redisTemplate을 사용해보고자 한다.TTL을 직접 설정 할 수 있다.캐시를 사용하는 클래스마다 redisTemplate를 주
현재 프로젝트는 spring3.x를 사용하고 있어 해당 버전에 맞게 redis를 적용하여 속도개선을 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이슈도 생겨서 이를 기록해보고자 한다.현재 Multi module로 구성되어 있기에 Redis 모듈도 별도로 분리하여 구성해보았다.해당 설정은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redisConnectionFactory' defined in class path resource com/mco
Spring Boot Configuration Annotation Processor not configured ErrorSpring Boot Configuration Annotation Processor not configured 라는 오류였다.오류를 확인하기 위해 알
org.springframework.data.redis.serializer.SerializationException: Could not write JSON: Java 8 date/time type java.time.LocalDateTime not supported by
Could not write JSON: Infinite recursion (StackOverflowError)JPA엔티티,JSON 변환 에러이다.원인연관관계 선언을 한 경우 발생jackson lib의 objectmapper 객체에 의해 json타입을 변환하는 도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