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기초

play·2022년 4월 26일
0

JaveScript

목록 보기
1/10
post-thumbnail

Chapter1. 변수

1-1 변수
1-2 변수의 선언

Chapter2. 타입

2-1 타입
2-2 typeof

Chapter3. 함수

3-1 함수
3-2 함수 사용법
3-3 함수 선언 방법


Chapter1. 변수

📌 변수

사물에 이름을 붙이듯 데이터에 이름을 붙인다. 여기서 이름은 변수다. 즉,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할당할 수 있는 것을 뜻한다.

2,4,6,8..단을 출력하는 코드를 만드려고 할 때, 효율적으로 처리하기위해 변수를 이용한다. 변수 하나를 관리하는 것은 여러번의 작업을 하는 것과 같다.

console.log(2 * 1)
.
.
console.log(2 * 9) 
let num = 2
console.log(num * 1)
.
.
console.log(num * 9)

📌 변수의 선언

선언 :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보관함의 자리를 확보하는 것으로 let 과 변수의 이름을 사용한다.

let fruit;

할당 : 보관함의 자리가 확보되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

fruit = 'apple';
  • 선언과 할당은 동시에 사용 가능하다.

    	let fruit = 'apple';
  • 데이터 보관함 크기는 동일하다.

  • 변수는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다.

  • 변수명엔 공백 사용 불가,
    동일한 변수를 이용해 대입 가능

let sum = 1;
sum = sum + 2;
sum = sum + 3; 
  • 할당되지 않은 변수는 undefined

표현식 : 변수를 이용해 값을 계산한다.


Chapter2. 타입

📌 타입

변수에 할당할 수 있는 형태.

  • number : 숫자
  • string : 문자열 따옴표 사용 가능.
  • Boolean : true / false 판별
  • symbol : 기본값
  • bigint : 2^53-1보다 큰 정수를 표현할 수 있음, number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없으므로 같은 자료형으로 변환해야 한다. bigint()함수 호출
  • null : 비어 있음. 의도적으로 사용 가능
  • undefined : 변수에 값이 없거나 할당되지 않은 경우.
  • function : 함수
  • object : 객체. 자료형 변수로 숫자, 문자열, boolean 섞여 사용될 수 있음

📌 typeof

특정 값의 타입을 확인하는 연산자


Chapter3. 함수

📌 함수

논리적으로 일련의 작업을 하는 하나의 단위

console.log(num 1)
...
console.log(num
9)

→ 이러한 반복적인 작업을 처리하는 기계.

  • 함수는 목적을 가진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들이 모인
    코드의 묶음이다.
  • 함수는 기능의 단위다.
  • 함수는 입력값, 출력값을 가진다.(mapping)
  • 호출 후 다시 돌아온다.(return)
  • return 을 사용하지 않았다면, 정의하지 않았다는 undefined 를 반환한다.

수업에서 봤던 동영상이 인상 깊었다. 당연하게 생각하지 말고 코드를 자세히 작성해야한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깨달았다. 컴퓨터는 아무것도 적힌 게 없는 흰 도화지라고 생각하자.

📌 함수 사용법

  1. 선언(declaration) : 함수는 어딘가에 보관된다.
  2. 호출(call, invocation) : 언제든 보관된 1을 호출할 수 있다.

이전의 작업방식

let rum = 3;

console.log(num * 1)
...
console.log(num * 9)

함수사용한 작업방식

function mulTablePrinter(num) {
	console.log(num * 1);
    ...
    console.log(num * 9);
}

multablePrinter 함수 선언됨
→ 특정 보관함에 함수 코드가 저장됨
→ 이 함수는 변수 num 을 매개변수로 받아들임
→ 매개변수 num 에 1~9를 곱하여 출력

mulTablePrinter(2)

이렇게 되면 보관함에 있던 함수가 실행된다. 여기서 num 은 2다.


📌 함수 선언 방법

함수를 만드는 것 = 함수를 선언하는 것

1. 함수 선언식

1) 입력값(base, height)을 함수 내부에서 활용한다.
2) 리턴을 해줘 함수를 출력한다.

function getTriangleArea(base, height) {
let triangleArea = (base * height) / 2;
return triangleArea
}

console.log(getTriangleArea(2, 4)) // prints 4

함수 내부에서 return을 한 경우
→ 출력값이 return 문의 값

만약, 함수 내부에서 return을 하지 않은 경우
→ 출력값이 undefined가 리턴됨

2. 함수 표현식

1) 변수를 선언하고 이 변수에 익명 함수를 할당한다.
2) 함수 내부는 함수 선언식 내부와 똑같이 작성해도 된다.

2-1 화살표 함수

함수 표현식을 기반으로 한다.
1) 변수를 선언하고 이 변수에 function 을 => 로 축약해서 익명 함수를 할당한다.

✔️소괄호 사용 가능.
✔️함수 표현식이 2줄 이상이면 중괄호와 리턴을 써준다.

📌 선언 & 호출

선언 - 매개변수 (parameter)

function 함수이름(매개변수1, 매개변수2..) {
	코드 
}

선언할 때 () 안에 변수로 적어준 값.
함수를 실행할 때 입력에 따라 바뀔 수 있는 변수지만
let 등의 키워드 없이 사용 가능

호출 - 전달인자 (argument)

함수이름(인자1, 인자2...)

함수를 호출 시 전달되는 실제 값(value)


profile
블로그 이사했습니다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