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조건문)if(실행을 위한 조건) { 조건에 해당할 시 실행할 내용 };
if문
은 '만일 ~ 라면 ~한다.'
로 생각하면 된다.
소괄호()
안에 해당 여부를 체크할 조건을 작성한 뒤 중괄호 {}
안(이하 코드블록)에 위의 조건에 충족했을 때 실행될 내용을 작성해준다. 즉 논리적 참 또는 거짓에 따라 실행할 코드 블록을 결정한다. 평가의 결과가 true
일 경우 if
문의 코드 블록이 실행 되고, false
경우 실행되지 않는다.
if(실행을 위한 조건) { 조건이 참일 경우 실행할 내용 }else { 조건이 거짓 일 경우 실행할 내용 }
위처럼 else
문을 이용하여 false
인 경우를 지정해 줄 수 있으며 else if
를 이용 하여 조건식을 추가하여 각 조건에 따라 실행할 코드 블록을 따로 지정할 수도 있다.
조건문은 삼항연산자
로도 표현할 수 있는데 표현식은 다음과 같다.
switch
문switch문
은 주어진 표현식을 평가하고 그에 해당하는 case문
을 실행한다. case문
은 조건을 표현식으로 지정하고 콜론(:)으로 마친 뒤 실행할 문을 작성한다. 또 각각의 case문
에 break문
을 작성해 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case문
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switch문
코드블럭을 빠져나가지 않고 계속해서 실행하다가, 마지막 default문
에 해당하는 문이 재할당 되기 때문이다. 이때 default문
에서는 break
를 생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switch (표현식){ case 표현식1: switch 표현식 1에 해당할 경우 실행할 문; break; case 표현식2: switch 표현식 2에 해당할 경우 실행할 문; break; default: 어느 case에도 해당하지 않을 경우 실행할 문; }
✅ if문
은 조건식이 true
나 false
, 즉 boolean
값으로 평가되어야 하지만, case문
은 조건식이 boolean
값이 아닌 상황으로 지정된다.
✅switch문
은 문법이 복잡하기도 하지만, 일부 switch문
을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래밍 언어도 있기 때문에 가능한 if…else문
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만약 조건이 너무 많아서 if…else문
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switch문
이 가독성이 더 좋다면 case문
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삼항연산자 공부해서 추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