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선임님께 꽤 질문을 했다.
test 서버에서 로그가 안 찍히고 있던건 세팅을 해주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 프로파일별 정책 설정 -->
<springProfile name="production">
<include resource="logback/logback-production.xml" />
</springProfile>
<springProfile name="development">
<include resource="logback/logback-development.xml" />
</springProfile>
<springProfile name="local">
<include resource="logback/logback-local.xml" />
</springProfile>
<springProfile name="test"> //// 이부분
<include resource="logback/logback-test.xml" />
</springProfile>
로그로 확인할 수 있는게 많은 것 같은데 아직 많이 낯설다.
상위의 상위의 상위의 상위의,... 것에 font-size: 0이 있었다.
단순 부모만 확인할게 아니라 조상을 다 확인해봐야할 때도 있을 것.
setFontSizeDangerOccurEventInfos() {
setInterval(() => {
let div = document.getElementsByClassName('sliding_info');
if (div.length > 0) {
let slideWidth = parseInt(div[0].offsetWidth);
if (slideWidth > 250) {
$('.dangerOccurEventInfos').css('font-size', '20px');
} else if (slideWidth > 150) {
$('.dangerOccurEventInfos').css('font-size', '10px');
} else {
$('.dangerOccurEventInfos').css('font-size', '0.1rem');
}
}
}, 1);
},
선임님이 짜주신 코드.
이전의 코드들은 엘리먼트가 생기기 전에 css를 바꾸려해서 문제가 된걸까?, 생각하고 this.$nextTick(function () { .... 도 시도해봤는데 안 되더라. 왜?
처음에 내가 짰던 쿼리는 뭘 원하는지도 불분명한 쿼리인 것 같다. (쿼리는 보안상 생략한다)
요구사항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도 있다.
SELECT 내에서 select 서브쿼리로 조인을 걸면
아우터 조인 효과가 난다고 한다.
select에 seq를 넣어준 이유는
실제로는 다른 데이터인데 같은 취급을 받아 중복제거되어버릴까봐 들어간 것.
각 값이 유일하게 나오는 컬럼의 경우에는 굳이 쓸 필요 없다.
undefined 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