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Model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 계층을 나눈 것
'프로토콜 스택' 혹은 '스택'은 계층들로 구성된 프로토콜 시스템이 구현된 시스템을 가리키며,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둘의 혼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위 계층은 하드웨어로, 상위 계층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
각 계층은 하위 계층의 기능만을 이용하고, 상위 계층에게 기능을 제공한다.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알 수 있고,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그 단계만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7계층을 나눈다.
1.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physical](https://www.lifewire.com/thmb/g2w4_fzKLA47R4wGCsJAYnQQDzw=/1500x0/filters:no_upscale():max_bytes(150000):strip_icc():format(webp)/layers-of-the-osi-model-illustrated-818017-finalv1-2-ct-ed94d33e885a41748071ca15289605c9.png)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주고받는 기능을 진행하는 계층이다.
- Bit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만 담당한다.
- PHY 칩 등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어 있다.
- 리피터, 케이블, 허브 등
즉, 0과 1의 나열을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 전선으로 흘려 보내고(encoding),
아날로그 신호가 들어오면 0과 1의 나열로 해석하여(decoding)
물리적으로 연결된 두 대의 컴퓨터가 0과 1의 나열을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모듈(module)
2. 데이터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datalink](https://www.lifewire.com/thmb/zPGFUYqE7hR9f4EQpeh-DyGFqvc=/1500x0/filters:no_upscale():max_bytes(150000):strip_icc():format(webp)/layers-of-the-osi-model-illustrated-818017-finalv1-3-ct-9d3e1bf44a554e3db31f706201fc69f6.png)
포인트 투 포인트(Point to Point) 간 신뢰성있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으로, 물리 계층으로 송수신되는 정보를 관리하여 안전하게 전달되도록 도와준다.
- CRC(Cyclic redundancy check, 순환 중복 검사) 기반의 오류 제어와 흐름제어, 재전송을 진행한다.
- 물리적으로 할당받은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통해 통신하며, Frame에 MAC 주소를 부여한다.
- 2계층 또한 1계층 처럼 하드웨어적으로 랜카드에 구현되어 있다.
- 브릿지, 스위치, 이더넷 등
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network](https://www.lifewire.com/thmb/TSScK6WTSLEnjNToI1AwzBXZbYo=/1500x0/filters:no_upscale():max_bytes(150000):strip_icc():format(webp)/layers-of-the-osi-model-illustrated-818017-finalv1-4-ct-9ffde2c7142849819c3fcf5e305a242f.png)
다양한 길이의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계층이다.
- 라우터를 통해 이동할 경로의 IP 주소를 지정하고, 해당 경로에 따라 Packet(Datagram)을 전달해준다.
-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전송 계층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QoS)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적, 절차적 수단을 제공한다.
- 라우팅, 흐름제어, 오류제어,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 등을 수행한다.
- 계층적(Hierarchial) 구조이다.
- 운영체제의 커널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어 있다.
- 라우터, IP
즉, 수많은 네트워크들의 연결로 이루어지는 inter-network 속에서
어딘가에 있는 목적지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IP 주소를 이용해서 길을 찾고(routing), 자신 다음의 라우터에게 데이터를 넘겨주는 것(forwarding)
4.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transport](https://www.lifewire.com/thmb/intF9AgvkoWdF0Gjpv8axHvd2Gw=/1500x0/filters:no_upscale():max_bytes(150000):strip_icc():format(webp)/layers-of-the-osi-model-illustrated-818017-final-5-ct-373fc5a9edc74359819021555f37467d.png)
TCP와 UDP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을 활성화하고, 양 끝단(End to End) 사용자들의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계층이다.
- Packet들의 전송이 유효한지 확인하고 전송 실패한 Packet들을 재전송한다.
- 데이터 전송 단위는 Segment이다.
- 운영체제의 커널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어 있다.
- TCP, UDP
즉, Port 번호를 사용하여 도착지 컴퓨터의 최종 도착지인 프로세스까지 데이터가 도달하게 하는 모듈
5. 세션 계층 (Session Layer)
![session](https://www.lifewire.com/thmb/TQKEwc82_JOcIHTJeLtrxFnLBOU=/1500x0/filters:no_upscale():max_bytes(150000):strip_icc():format(webp)/layers-of-the-osi-model-illustrated-818017-finalv1-6-ct-f21bdae22e54415b881d77babe8ca51d.png)
양 끝단의 응용 프로세스가 통신하기 위한 논리적 연결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 연결이 손실되는 경우 연결 복구를 시도한다.
- 동시 송수신 방식(Duplex), 이중 방식(Full-Duplex, Half-Duplex) 통신과 체크 포인팅의 유휴, 종료 및 재개를 수행한다.
- TCP/IP 세션을 만들고 없애는 책임을 진다.
- API, Socket
6.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presentation](https://www.lifewire.com/thmb/_A1JgeRLBGivNHpyS8eNfqqcjGg=/1500x0/filters:no_upscale():max_bytes(150000):strip_icc():format(webp)/layers-of-the-osi-model-illustrated-818017-finalv1-7-ct-e102db1b79da4926b510f944183989f8.png)
데이터 표현에 대한 독립성을 제공하고 암호화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 코드 간의 번역을 담당하여 사용자 시스템에서 데이터 형식상의 차이를 다루는 부담을 응용 계층으로부터 덜어준다.
- 파일 인코딩, 명령어 포장, 압축, 암호화 등을 수행한다.
- JPEG, MPEG 등
7.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application](https://www.lifewire.com/thmb/3esvjgGCZIWvnUx6lFXSU3Vxr40=/1500x0/filters:no_upscale():max_bytes(150000):strip_icc():format(webp)/layers-of-the-osi-model-illustrated-818017-finalv1-8-ct-089b2573bf47462d85f9343f50329f72.png)
최종 목적지로,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하여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하는 계층이다.
- 사람이 인식하고 표현 계층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데이터와 그림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자우편, 데이터베이스 관리 등을 수행한다.
- HTTP, FTP, DNS 등
요약
OSI 7 계층이란, 통신 접속에서 완료까지의 과정을 7단계로 정의한 국제 통신 표준 규약
- 물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기능 제공 (라우터, 케이블, 허브)
- 데이터링크: 송/수신 확인, MAC 주소를 통해 통신 (브릿지, 스위치)
- 네트워크: 네트워크 간의 IP를 통해 패킷 전달 (라우팅)
- 전송: 두 host 시스템으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 흐름 제공
- 세션: 통신 시스템 사용자 간의 연결을 유지 및 설정
- 표현: 세션 계층 간의 주고받는 인터페이스를 일관성있게 제공
- 응용: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