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머지
a = 10 % 3
# 몫
b = 10 // 3
array = [[0] * m for _ in range(n)]
data = 'abcdeabc'
result = ''.join(set(data))
# 결과 : dcbae
data = 'abcdeabc'
list(data)
result = ''.join(list)
insert(a, b)
a 위치에 b 추가
pop(a)
a 위치의 값을 꺼내옴
remove(a)
a랑 일치하는 값을 꺼내옴 ( 여러개면 앞에서부터 1개 )
index(a)
a랑 일치하는 값의 위치
count(a)
a랑 일치하는 원소 개수
list.sort() / list.sort(reverse = True)
list 오름차순 / 내림차순 정렬
리스트 를 직접 정렬하고 싶지 않으면
result = list.sorted() 를 사용
list.append('a')
리스트 맨 뒤에 'a' 추가
len(list)
리스트의 길이
data.upper()
대문자로 변환
data.lower()
소문자로 변환
data.count('a')
'a' 의 개수 반환
data.isalpha() # True / False
알파벳이 있는지 확인
data.isdigit() # True / False
숫자가 있는지 확인
data.strip('t')
문자열 양끝에 't' 를 제거
len(data)
문자열의 길이
a = set([1,2,3,4,5]) # 집합은 중복이 안됨
b = set([3,4,5,6,7])
- 합집합
print(a|b) # {1,2,3,4,6,7}
- 교집합
print(a&b) # {3, 4, 5}
- 차집합
print(a-b) #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