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teral : 리터럴은 코드 안에 지정된 데이터(값) 그 자체를 뜻합니다. 즉, 변수에 넣는 변하지 않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
상수 : 상수는 변하지 않는 변수를 뜻합니다
2.자료형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을 생성할 때 사용하는 이름입니다
1)기본자료형
:이름과 값이 하나입니다
데이터 공간의 크기가 고정입니다
-> 정수의 기본값은 int 입니다. int는 4byte로 표현할 수 있는 수가 2147483647까지 입니다. 그래서 그 이상의 수를 표현하기 위해 8byte인 long을 쓰고 싶다면 숫자 뒤에 L(l)을 같이 써주면 됩니다. 만약 L없이 2147483647보다 큰 수를 입력하게 되면 error가 뜹니다
실수형(double,float)
:float은 숫자 뒤에 F를 붙여주지 않으면 error입니다
문자형(char)
:문자형은 문자를 ' '안에 넣어서 표기합니다
boolean
:true(참), flase(거짓)의 값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Stirng)
:문자열을 기본자료형 처럼 다루게 해주는 class 입니다
2)참조자료형
:기본자료형을 제외한 모든 자료형 입니다
실제 데이터가 있는 곳과 이름이 분리되어 있습니다
3.변수
:자료형을 사용해서 만들어 쓰는 데이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