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리눅스] 5장 파일 접근 권한 관리

김예은·2024년 8월 20일
0

리눅스시스템

목록 보기
1/2

1) 파일 속성

file : 지정한 파일의 종류를 알려준다

groups : 사용자가 속한 그룹을 알려준다.

2) 파일 접근 권한

접근 권한 종류

접근 권한 표기 방법

rw-r--r--

rw- 소유자 r-- 그룹r-- 기타 사용자

읽기 권한 : r (read)

쓰기 권한 : w (write)

실행 권한 : x (execute)

접근 권한의 변경 명령 chmod

chmod :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접근 권한을 변경한다.
chmod : 하위 디렉터리까지 모두 변경할 수 있다.

기호모드: 접근권한을 변경하기 위해 문자와 기호를 사용하여 권한을 표시
숫자모드: 접근권한을 변경하기 위해 숫자를사 용

3) 기호를 이용한 파일 접근 권한 명령

+권한부여
-권한제거
=접근 권한 설정

4) 숫자를 이용한 파일 접근 권한 변

5) 기본 접근 권한 설정

기본 접근권한이 자동 설정

일반 파일 : 소유자 -rw , 그룹, 기타 사용자는 r

디렉터리 : 소유자 rwx, 그룹, 기타사용자 rx

unmask : 기본 접근 권한을 출력하거나 변경

마스크 값의 의미

  • 마스크 값은 파일이나 디렉터리 생성시 부여하지 않을 권한을 지정해 놓은 것.- '마스크(Mask)'의 원래 의미가 일부분을 가리는 기능.
  • 마스크 값이 '022'일 경우, 접근 권한의 숫자 모드로 해석시 '----w--w-' 이고 이는 그룹과 기타 사용자에게 쓰기 권한을 부여하지 않겠다는 뜻.

6) 특수 접근 권한

접근 권한은 원래 4자리

SetUID : 파일이 실행되는 동안 파일을 실행한 사용자의 권한이 아니라 파일 소유자의 권한으로 실행

접근 권한에서 맨 앞자리에 4를 설정

스타키 비트 : 디렉터리에 설정하며 이 비트가 설정되어 있으면 누구나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profile
소프트웨어공학 / 정보통신공학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