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 Studio Code(vscode)에서 Flutter 프로젝트를 생성해 볼 것이다.
먼저 해당 글을 따라하기 전에 개발환경 설정이 되어있어야한다.
만약 개발환경을 설정하기 전이라면 이전 글을 보고 오면 된다.
마켓플레이스에서 Flutter를 검색해 설치해준다.
자동으로 Dart Code도 같이 설치된다.

설치가 다 되면 vscode를 재시작 해준다.
View > CommandPalette... 또는 Shift + Ctrl + P를 눌러 Flutter: Run Flutter Doctor을 입력해준다.

개발 환경이 잘 갖춰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 가 있다면 이전 글을 참고해서 설정해주면 된다.
CommandPalette 에 Flutter: New Poject 를 입력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Application을 선택하고

원하는 폴더를 선택한 뒤

프로젝트 이름을 입력해주면

프로젝트가 생성된다.

왼쪽 디버그 메뉴 > Run And Debug 또는 터미널에서 flutter run을 통해 프로젝트를 실행할 수 있다.
자동으로 크롬으로 실행된다.

이제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로 실행해보겠다.
CommandPalette 에 Flutter: Select Device 를 입력한다.

만들어둔 에뮬레이터를 선택하면 된다.

다시 실행시켜 보면 설정한 에뮬레이터에서 실행된다!

reference
https://www.whatwant.com/entry/Flutter-with-Visual-Studio-CodeVSCode
https://dong-queue.tistory.com/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