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넷
용어
- 서브넷(subnet): 서브넷은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영역을 부분적으로 나눈 부분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서브넷을 만들기 위해서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한다.
-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IP 주소 체계의 Network ID와 Host ID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 서브넷팅(subneting):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면 원본 네트워크를 여러 개로 분리할 수 있다.
![](https://velog.velcdn.com/images/yh_lee/post/321d9713-b864-48c7-bfa7-37560144328c/image.png)
서브넷 마스크
![](https://velog.velcdn.com/images/yh_lee/post/5aadea71-551b-4fde-b72a-d494f83eda0b/image.png)
- 각 클래스마다 기본 서브넷 마스크는 위 표와 같다.
- 기본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면 IP 주소의 Network ID와 Host ID를 구분할 수 있다.
- IP 주소에 서브넷 마스크를 AND 연산하면 Network ID가 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yh_lee/post/b190b887-794e-4d1c-9350-ea71d2b0277a/image.png)
- c 클래스인 192.168.32.0이라는 IP 주소를 c 클래스 기본 서브넷 마스크와 AND 시키면 192.168.32.0이 나오고 이 주소가 Network ID가 된다.
- 24의 의미는 이 주소에 해당하는 서브넷 마스크가 왼쪽부터 24개의 비트가 1이라는 뜻이다.
서브네팅
- 서브네팅은 주소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원본 네트워크를 여러개의 서브넷으로 분리하는 과정이다.
- 서브넷 마스크의 비트 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비트수를 1bit 증가시키는 경우에 할당할 수 있는 네트워크가 2배수로 증가하고 호스트 수는 2배로 감소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yh_lee/post/f45a9c0a-d19d-4184-8ce5-be550783d84f/image.png)
- 192.168.32.0/25로 변경하면 Network ID를 나타내는 부분이 25bit로, Host ID를 나타내는 부분이 8bit에서 7bit로 변경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yh_lee/post/16f318b3-aa22-41d8-ad47-5a13ab6d3c3c/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