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스코프,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이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까지만 관여하고 더는 관리하지 않는 매우 짧은 범위의 스코프이다. 프로토타입 스코프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조회하면 스프링 컨테이너는 항상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반환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을 생성, 의존관계 주입, 초기화까지만 처리한다. 클라이언트에 빈을 반환하고 이후 스프링 컨테이너는 생성된 프로토타입 빈을 관리하지 않는다. 프로토타입 빈을 관리할 책임은 프로토타입 빈을 받은 클라이언트에 있다. 그래서 @PreDestroy 같은 종료 메서드가 호출되지 않는다.??
public class PrototypeTest {
@Test
void prototypeBeanFine(){
//클래스를 등록하면 그 대상 자체가 컴포넌트를 붙인 것처럼 동작하기 때문에 PrototypeBean.class에 @Component 붙이지 않아도 됨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PrototypeBean.class);
System.out.println("find prototypeBean1");
PrototypeBean bean1 = ac.getBean(PrototypeBean.class);//PrototypeBean.init
System.out.println("find prototypeBean2");
PrototypeBean bean2 = ac.getBean(PrototypeBean.class);//PrototypeBean.init
System.out.println("bean1 = " + bean1);
System.out.println("bean2 = " + bean2);
assertThat(bean1).isNotSameAs(bean2);
ac.close();
}
@Scope("prototype")
static class PrototypeBean{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init");
}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destroy");
}
}
}
find prototypeBean1
PrototypeBean.init
find prototypeBean2
PrototypeBean.init
bean1 = hello0703.core.scope.PrototypeTest$PrototypeBean@484094a5
bean2 = hello0703.core.scope.PrototypeTest$PrototypeBean@38234a38
의존관계를 외부에서 주입(DI) 받는게 아니라 직접 필요한 의존관계를 찾는 것을 DL의존관계 조회(탐색)이라 한다.
단순하게 생각하여 ApplicationConext를 주입받아서 매번 새로운 프로토타입을 가져오는 방법도 있다. 싱글톤 빈이 프로토타입을 사용할 때마다 스프링 컨테이너에 새로 요청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스프링의 ApplicationConext 전체를 주입받게 되면 스프링 컨테이너에 동속적인 코드가 되고 단위 테스트도 어려워진다. 지정한 프로토타입 빈을 컨테이너에서 대신 찾아주주는 딱 DL 정도의 기능만 제공하는 무언가가 필요하다.
static class ClientBean {
@Autowired
private ApplicationContext ac;
public int logic() {
PrototypeBean prototypeBean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addCount();
int count = prototypeBean.getCount();
return count;
}
}
지정한 빈을 컨테이너에서 대신 찾아주는 DL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로 ObjectProvider이다. 참고로 과거에는 ObjectFactory가 있었는데 여기에 편의 기능을 추가해서 ObjectProvider가 만들어졌다.
ObjectProvider: ObjectFactory 상속, 옵션, 스트림 처리 등 편의 기능이 많고 별도의 라이브러가 필요 없다. 스프링에 의존한다.
아래 코드를 실행해보면 prototypeBeansProvider.getObject()가 항상 새로운 프로토타입 빈을 생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ObjectProvider는 getObject()를 호출하고 ㅐ부에서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 해당 빈을 찾아서 반환한다.(DL) 스프링이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하지만 기능이 단순해서 단위테스트를 만들거나 mock 코드를 만들기 쉬워진다.
Scope("singleton")
static class ClientBean{
@Autowired
private ObjectProvider<PrototypeBean> prototypeBeansProvider;
public int logic(){
PrototypeBean prototypeBean = prototypeBeansProvider.getObject();//항상 새로운 빈 생성
prototypeBean.addCount();
int count= prototypeBean.getCount();
return count;
}
}
JSR-330 자바 표준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라이브러리를 gradle에 추가해야 한다.
provider.get()을 통해서 항상 새로운 프로토타입 빈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et()을 호출하면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 해당 빈을 찾아 반환한다.(DL) Provider는 지금 딱 필요한 DL 정도의 기능만 제공한다.
@Scope("singleton")
static class ClientBean{
@Autowired
private Provider<PrototypeBean> prototypeBeansProvider;
public int logic(){
PrototypeBean prototypeBean = prototypeBeansProvider.get();//항상 새로운 빈 생성
prototypeBean.addCount();
int count= prototypeBean.getCount();
return count;
}
}
매번 사용할 때마다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된 새로운 객체가 필요하면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실무에서 싱글톤으로 대부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드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