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UI 디자인 친화

조용환·2024년 1월 22일
0

Design

목록 보기
3/3

UX 디자인의 정의

사용자 경험(UX, Uer Experience)이란?
사용자가 제품, 시스템, 서비스를 이용하여 느끼는 감정, 생각, 행동 등 사용자가 얻는 총체적 경험을 의미

UX 디자인은 제품 또는 서비스를 디자인하는 과정에 사용자의 경험을 반영시키는 것
-> 한번 확장된 경험은 돌아가지 않는다.

UX 용어 유래

1993년 애플 컴퓨터의 부사장으로 재직하던 도널드 노먼이 자신의 직함을 'User Experience Architect'로 지칭하면서 'User Experience(UX)'라는 단어를 세상에 알림

UX 디자인은 왜 중요할까?

잘 만들어진 서비스는 미적으로 보기 좋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경험도 잘 설계 됨을 의미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험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궁극적으로 기업의 이익에 영향을 미침
또한 서비스들이 상향 평준화가 되어 가고 있는 가운데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이 곧 경쟁력이 되어가고 있음

인간중심디자인(HCD, Humkan Centered Design)이란?

  • 문제 해결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에서 인간의 관점을 포함하여 솔루션을 개발하는 디자인 프레임워크
  • 서비스에 대한 솔루션은 사람들의 니즈에 적합해야 함
  • 기술적 실현, 경제적 지속 실행이 가능해야 함

사람들이 진심을 원하는 것은? -> 기술적, 조직적 측면에서 실현가능한 것은? -> 경제적, 재정적 지속가능한 것은? 이라는 순서로 생각해야한다.

UX 디자인과 HCD의 차이점

UX 디자인과 HCD 모두 사람을 중심으로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와 그것을 해결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유사

그러나 인간중심디자인은 디자인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인간의 관점을 고려

UX 디자인은 인간과 제품/서비스 간에 물리적인 상호작용과 사용자의 경험 개선으로 사용자 만족도 높이는 것
HCD -> Customer Experience -> User Experience 순으로 좁은 개념

잘된 UX 디자인

  • 사용자가 기능을 쉽게 유추할 수 있도록 함.
  • 사용자의 검색 실수 등을 줄임.

잘못된 UX 디자인

  • 리모컨이 가진 모든 기능을 중요도의 구분 없이 나열해 사용자의 의사결정 시간을 증가시킴
  • 에러 메시지는 사용자가 에러 발생시 해야 하는 행동이 무엇인지 알 수 있도록 문제점과 해결 방법을 제시함.
  • 주변 영역과 구분되지 않는 버튼 디자인 -> 사용자가 인식 못하고 잘못 사용할 가능성이 있음.

디자인 방법론과 프로세스

디자인 프로세스의 이해

서비스 이해 및 문제점 발견 -> 경쟁사 및 사용자 리서치 -> 문제정의 및 솔루션 도출 -> 디자인 및 프로토타입 제작 -> 테스트 -> 수정 및 보안

방법론의 이해

디자인 씽킹, 더블 다이아모든, 린 UX, 구글 디자인 스프린트(Methodology)

디자인 프로세스

디자인 씽킹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직접 경험하면서 시작(최소 설문, 직접 경험이 좋음)
공감 -> 문제 정의 -> 아이디어 찾기 -> 시제품 만들기 -> 평가하기

더블 다이아몬드(Double Diamond)

직면한 하나의 이슈를 깊고 넓게 탐구한 후 하나의 인사이트로 생각을 좁혀나가고, 다시 한 번 더 생각을 확장하여 아이디어를 찾고 가장 적합한 하나의 아이디어로 좁혀나감
Problem -> Discover -> Define -> UX Strategy(이 때까지 절대 직접 만들어보지 않음) -> Develop -> Deliver -> Solution

린 UX (Lean UX)

순환적으로 반복적으로 개선해나가는 프로세스로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의 흐름과 다양해지는 고객의 니즈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대응책으로 떠오른 프로세스
아이디어(가설을 세운) -> 구현(MVP 제작) -> 검증 -> 아이디어 -> 구현 -> ...
디자인 씽킹, 애자일, 린 스타트업 기반 = 린 UX.
린 캔버스가 잘 나와있음

디자인 스프린트

5일을 기준으로 함
이해 -> 발산 -> 결정 -> 시제품 제작 -> 평가

UX 디자인과 프로덕트 디자인

용어 정의 : 디지털 프로덕트

과거에는 웹, 앱만 있었으나 지금은 너무 많음. 그래서 디지털 프로덕트가 나옴

UX 디자인 vs 프로덕트 디자인

UX 디자인 : 신규 제작, 사용자 정의, 경험 정의, 제품 컨셉 구체화
프로덕트 디자인 : 기존 디지털 프로덕트, 고도화, 유지 보수, 관리, 이슈 해결, 개선

UX - UI - GUI

주요 업무 : 사용자 요구사항, 디바이스 지정 구조, 구성 기획 - 비주얼 디자인 브랜드 반영

산출물 : UX 전략(방향성) - 인포메이션 아키텍쳐, 네비게이션, 레이아웃 디자인 - 디자인 이미지 스타일 가이드

표면층 -> 골격층 -> 구조층 -> 범위층

디지털 프로덕트의 특징

작은 반복과 개선이 병행된다
중간에 방향을 잃기 쉽다(보이지 않는 특성)
어느 정도 진행된 후에는 바꾸는 데에 공이 많이 들어간다
개별 작업도 중요하지만, 팀 공동 작업임을 명시

사용자 경험 요소 모델을 기반으로 언제 무엇을 해야하고, 다른 파티와 어떠한 부분의 결정을 해야 하는지 체크

profile
practice react, javascript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