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니악
범용 컴퓨터의 시초
Simple Batch Systems
모니터 (소프트웨어 이름)
메인 메모리 안에 올라감, 나머지 부분은 사용자 프로그램 영역임

모니터는 실행해야 할 사용자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넣고, 실행시키고, 결과를 출력하게 하는 일렬의 과정을 제어하는 소프트 웨어
결론은 모니터는 메인 메모리에 사용자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소프트 웨어 →일괄 처리 방식 (Simple Batch Systems) : 한 묶음으로 된 프로그램(마그네틱 테입 or 종이)을 하나씩 순차 실행함
195~60년대 이용된 소프트웨어
모니터는 운영체제의 초창기 형태
모니터에 의해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모습 : 개념적으로 포현 >> (Uni-programming)

(프로그램 실행할 때 CPU의 동작 상황을 그림으로 표현함)
Uni-Programming

은행원 : CPU
의자 : 메인 메모리 공간
의자에 앉는 사람 : 실행중인 프로그램 (프로세스)
대기 중인 사람 : 프로그램
Multiprogramming

CPU 하나
메인 메모리 하나에 여러 프로그램 실행

장점 : CPU의 활용도는 높아짐
단점 : 메모리 공간이 더 커야함.
하드웨어 적으로 메모리가 커저야하는 요구사항만 있는게 아닌 소프트웨어 적으로 부가적으로 필요한 것이 ‘프로세스 스케쥴링’
프로세스 스케쥴링 ( == job scheduling, CPU scheduling)
운영체제가 내부적으로 설계된 기준으로 다음으로 실행할 프로그램을 선택하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