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실습의 핵심은 RDS 클러스터의 고가용성 설정과 장애 시 자동 승격 과정을 직접 확인하는 것이다.

구성 요소:
EC2 사용자 데이터 (MyWeb11, MyWeb21 공통):
#!/bin/bash
hostnamectl --static set-hostname $(curl -s http://169.254.169.254/latest/meta-data/instance-id)
echo "toor1234." | passwd --stdin root
sed -i 's/PasswordAuthentication no/PasswordAuthentication yes/g' /etc/ssh/sshd_config
sed -i 's/^#PermitRootLogin prohibit-password/PermitRootLogin yes/g' /etc/ssh/sshd_config
systemctl restart sshd
yum install -y httpd mariadb105 php php-mysqlnd
echo "<h1>$(hostname) test web page</h1>" > /var/www/html/index.html
systemctl enable --now httpd.service
MyWeb11 인스턴스에서 다음 명령어로 접속:
mysql -h mydb.cluster-abcd.ap-northeast-2.rds.amazonaws.com -u dbadmin -p
CREATE DATABASE testdb;
MyWeb21 인스턴스에서도 동일 클러스터 접속 후 show databases; 실행 → testdb 정상 확인.

👉 이 과정은 다중 AZ 구성이 가진 가장 큰 의미를 보여준다. 가용영역이 달라도 하나의 클러스터 엔드포인트를 통해 같은 DB에 접근 가능하며, 인프라의 확장성과 장애 시 복원력을 보장한다.
👉 이건 고가용성과 확장성의 핵심이다. 다중 리더 구성을 통해 읽기 트래픽을 분산 처리할 수 있고, 서비스 트래픽이 급증해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실시간 분석, 조회 요청이 많은 서비스라면 필수 구성.


show databases; 확인 → 장애 상황에서도 서비스는 멈추지 않는다.👉 관리자가 개입하지 않아도 AWS가 자동으로 리더를 승격해 서비스 중단을 막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