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p address 명령어
✅ 설명
ip address 명령어는 리눅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P 주소, MAC 주소 등)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 물리적/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며,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어떤 IP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한다.
🔎 ip address 예제 출력
[root@docker1 ~]
1: lo: <LOOPBACK,UP,LOWER_UP> mtu 65536 qdisc noqueue state UNKNOWN group default qlen 1000
inet 127.0.0.1/8 scope host lo
inet6 ::1/128 scope host
2: ens33: <BROADCAST,MULTICAST,UP,LOWER_UP> mtu 1500 qdisc fq_codel state UP group default qlen 1000
inet 192.168.aaa.bbb/24 brd 192.168.aaa.255 scope global noprefixroute ens33
3: docker0: <NO-CARRIER,BROADCAST,MULTICAST,UP> mtu 1500 qdisc noqueue state DOWN group default
inet 172.17.ccc.1/16 brd 172.17.255.255 scope global docker0
📌 출력된 정보 분석
| 항목 | 설명 |
|---|
| lo (Loopback 인터페이스) | 자기 자신과 통신할 때 사용 (127.0.0.1) |
| ens33 (물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실제 네트워크 카드에 할당된 IP (192.168.aaa.bbb/24) |
| docker0 (도커 브리지 네트워크) | 도커 컨테이너 내부 네트워크 (172.17.ccc.1/16) |
1️⃣ Loopback 인터페이스 (lo)
127.0.0.1/8 → 자기 자신과 통신할 때 사용하는 주소.
inet6 ::1/128 → IPv6에서 루프백 주소.
2️⃣ 물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ens33)
- 실제 네트워크 어댑터(이더넷 카드)와 연결된 인터페이스.
inet 192.168.aaa.bbb/24 → 호스트의 IP 주소.
/24 →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즉 192.168.aaa.0/24 범위 내의 다른 장치들과 직접 통신 가능.
3️⃣ 도커 네트워크 (docker0)
- 도커에서 자동으로 생성하는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net 172.17.ccc.1/16 → 컨테이너 네트워크를 위한 가상 IP 주소.
/16 → 서브넷 마스크 255.255.0.0, 즉 172.17.0.0 ~ 172.17.255.255 범위의 IP를 사용할 수 있음.
2. ip route 명령어
✅ 설명
ip route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이 네트워크 트래픽을 어떤 경로로 전달하는지(라우팅 테이블)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 패킷이 목적지로 이동할 때 어떤 경로를 거치는지 확인할 수 있다.
🔎 ip route 예제 출력
[root@docker1 ~]
default via 192.168.aaa.1 dev ens33 proto static metric 100
172.17.ccc.0/16 dev docker0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72.17.ccc.1 linkdown
192.168.aaa.0/24 dev ens33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92.168.aaa.bbb metric 100
📌 출력된 정보 분석
| 경로 | 설명 |
|---|
default via 192.168.aaa.1 dev ens33 | 모든 외부 트래픽은 게이트웨이 192.168.aaa.1로 보냄 |
172.17.ccc.0/16 dev docker0 | 도커 네트워크 (docker0)로 전달되는 패킷 경로 |
192.168.aaa.0/24 dev ens33 | 같은 네트워크(192.168.aaa.bbb)는 ens33을 통해 직접 전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