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프로그래머스/카카오-Level1] 실패율

Use_Silver·2022년 5월 5일
0

Algorithm

목록 보기
31/31
post-custom-banner

문제

풀이

입출력 예에서도 아주 친절하게 잘 설명 해 주듯, stage n의 실패율은 n에 도전한 user의 수 / n보다 큰 stage에 도전한 user 수 + n에 도전한 user의 수 이다. 이걸 잘 풀어서 해결하면 된다.

예시로 설명

더 이해가 잘 가게 입출력 예시 N = 5, stages = [2,1,2,6,2,4,3,3] 을 예시로 설명해보겠다.

위 예시는 stage가 5까지 있고, stage 5를 깬다 == user가 N+1의 stage에 있다. 라고 이해하면 된다.

즉, [1,2,2,2,3,3,4,6] 의 형태에서

stage 5 = 5보다 큰 수 (1개) 		=> 0명 실패 / 1명 시도 
		  5번 도전한 수 (0개)	 	  

stage 4 = 4보다 큰 수 (1개)		=> 1명 실패 / 2명 시도
		  4번 도전한 수 (1개)
          
stage 3 = 3보다 큰 수 (2개)		=> 2명 실패 / 4명 시도
		  3번 도전한 수 (2개)
          
stage 2 = 2보다 큰 수 (4개)		=> 3명 실패 / 7명 시도
		  2번 도전한 수(3개) 
          
stage 1 = 1보다 큰 수 (7개)		=> 1명 실패 / 8명 시도 
		  1번 도전한 수 (1개)

이렇게 이해하면 된다!
이 방법대로 이제 코드를 짜보자

여러 풀이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일단 n번 도전한 횟수를 먼저 계산 해주었다.

01. n번 도전 횟수 계산

    stages.sort() # stage sort 
    answer = { x: 0 for x in range(1,N+2) } # stages에 1~N+1까지 담겨있음 

    # stage마다 user count 
    for key,_ in answer.items():
        answer[key] = stages.count(key)

stage를 sort한 뒤, dictionary의 형태로 stage를 도전한 user의 count해준다.

stage마다 count를 하고 나서 부터는 단순하다. stage n의 실패율 = n에 도전한 user의 수 / n보다 큰 stage에 도전한 user 수 + n에 도전한 user의 수 의 공식에 따라 실패율을 계산해주는것이다.

02. 실패율 계산

Try 01

실패율을 계산하는데, 처음에는 1~N까지 n에 도전한 user의 수와 n보다 큰 stage에 도전한 user의 수를 이중for문으로 계산해주었다. 그러나, 이 방법대로 하니 런타임 에러가 상당히 많이 발생했다. 시간 단축을 위해 stage에 도전한 user의 수를 dp로 만들어서 수정해주었다.

    # 실패율 
    result = []

    for i in range(1,N+1):
        # 분자 : n번 도전 횟수 
        n_try = answer[i]

        # 분모 : n보다 큰 수 
        n_more = 0

        for j in range(i,N+2):
            n_more +=answer[j]

        result.append([n_try/(n_more+n_try),i]) 
   
     # 스테이지 번호를 실패율의 내림차순으로 정렬 , 크기가 동일하면 오름차순부터  
      result.sort(key=lambda x :(-x[0],x[1]))

   	 return [i for _,i in result]

Try 02

큰 stage부터 작은 stage로 실패율을 계산해주었다. dp[i]는 i보다 큰 stage 도전 횟수로 설정하였다.

위 예시를 다시 가져와서 설명해보자면

[1,2,2,2,3,3,4,6] 의 형태에서

dp[i]는 i보다 큰 수를 의미한다. 

stage 5 = 5보다 큰 수 (1개)   == dp[5] = 1 	
		  5번 도전한 수 (0개)	 	  

stage 4 = 4보다 큰 수 (1개)	== dp[4] = dp[5] + 5번에 도전한 수
		  4번 도전한 수 (1개)
          
stage 3 = 3보다 큰 수 (2개)	== dp[3] = dp[4] + 4번에 도전한 수 
		  3번 도전한 수 (2개)
          
stage 2 = 2보다 큰 수 (4개) == dp[2] = dp[3] + 3번에 도전한 수 
		  2번 도전한 수(3개) 
          
stage 1 = 1보다 큰 수 (7개) == dp[1] = dp[2] + 2번에 도전한 수 
		  1번 도전한 수 (1개)

코드는 아래와 같다.

    # 실패율 
    result = []
    dp = [0]*(N+2)
    
    for i in range(N,0,-1):
        # 분자 : i번 도전 횟수 
        n_try = answer[i]
        
        # dp[i] = i보다 큰 수 
        dp[i] = answer[i+1] + dp[i+1]

        # 분모 : i보다 큰 수 + i번 도전 횟수 
        n_more = dp[i] + n_try
        
        try:
            result.append([n_try/n_more,i])
        except:
            # zero division
            result.append([0,i])     

    result.sort(key=lambda x :(-x[0],x[1]))

    return [i for _,i in result]

코드

def solution(N, stages):

    stages.sort() # stage sort 
    answer = { x: 0 for x in range(1,N+2) } # stages에 1 ~ N+1까지 담겨있음 

    # stage마다 user count 
    for key,_ in answer.items():
        answer[key] = stages.count(key)

    # 실패율 
    result = []
    dp = [0]*(N+2)
    
    for i in range(N,0,-1):
        n_try = answer[i] # 분자 : i번 도전 횟수
        dp[i] = answer[i+1] + dp[i+1] # dp[i] = i보다 큰 수 
        n_more = dp[i] + n_try         # 분모 : i보다 큰 수 + i번 도전 횟수 
        try:
            result.append([n_try/n_more,i])
        except:
            # zero division
            result.append([0,i])     

    result.sort(key=lambda x :(-x[0],x[1]))

    return [i for _,i in result]

후기

dp를 여기서 써먹다니! 많이 발전했다~ :)

profile
과정은 힘들지만😨 성장은 즐겁습니다🎵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