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Lv.1 🌱
2023 KAKAO BLIND RECRUITMENT > 개인정보 수집 유효기간
파이썬으로 풀어보기
고객의 약관 동의를 얻어서 수집된 1~n
번으로 분류되는 개인정보 n
개가 있습니다. 약관 종류는 여러 가지 있으며 각 약관마다 개인정보 보관 유효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당신은 각 개인정보가 어떤 약관으로 수집됐는지 알고 있습니다.
수집된 개인정보는 유효기간 전까지만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다면 반드시 파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약관의 유효기간이 12 달이고, 2021년 1월 5일에 수집된 개인정보가 A약관으로 수집되었다면 해당 개인정보는 2022년 1월 4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2022년 1월 5일부터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당신은 오늘 날짜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 번호들을 구하려 합니다.
모든 달은 28일까지 있다고 가정합니다.
다음은 오늘 날짜가 2022.05.19
일 때의 예시입니다.
terms
약관 종류 | 유효기간 |
---|---|
A | 6 달 |
B | 12 달 |
C | 3 달 |
privacies
번호 | 개인정보 수집 일자 | 약관 종류 |
---|---|---|
1 | 2021.05.02 | A |
2 | 2021.07.01 | B |
3 | 2022.02.19 | C |
4 | 2022.02.20 | C |
오늘 날짜를 의미하는 문자열 today
, 약관의 유효기간을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terms
와 수집된 개인정보의 정보를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privacies
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의 번호를 오름차순으로 1차원 정수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today
는 "YYYY.MM.DD"
형태로 오늘 날짜를 나타냅니다.
1 ≤ terms
의 길이 ≤ 20
- terms
의 원소는 "약관 종류 유효기간"
형태의 약관 종류와 유효기간을 공백 하나로 구분한 문자열입니다.
- 약관 종류는 A~Z중 알파벳 대문자 하나이며, terms
배열에서 약관 종류는 중복되지 않습니다.
- 유효기간은 개인정보를 보관할 수 있는 달 수를 나타내는 정수이며,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1 ≤ privacies
의 길이 ≤ 100
- privacies[i]
는 i+1
번 개인정보의 수집 일자와 약관 종류를 나타냅니다.
- privacies
의 원소는 "날짜 약관 종류"
형태의 날짜와 약관 종류를 공백 하나로 구분한 문자열입니다.
- 날짜는 "YYYY.MM.DD"
형태의 개인정보가 수집된 날짜를 나타내며, today
이전의 날짜만 주어집니다.
- privacies
의 약관 종류는 항상 terms
에 나타난 약관 종류만 주어집니다.
today
와 privacies
에 등장하는 날짜의 YYYY
는 연도, MM
은 월, DD
는 일을 나타내며 점(.) 하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2000 ≤ YYYY
≤ 2022
- 1 ≤ MM
≤ 12
- MM
이 한 자릿수인 경우 앞에 0이 붙습니다.
- 1 ≤ DD
≤ 28
- DD
가 한 자릿수인 경우 앞에 0이 붙습니다.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입력만 주어집니다.
더 자세한 입출력 예시는 문제 사이트를 참고해주세요!
def solution(today, terms, privacies):
answer = []
# today 년, 월, 일
t_year, t_month, t_day = map(int, today.split("."))
# terms_dict {약관 종류 : 유효기간}
terms_dict = {}
for i in range(len(terms)):
term = terms[i].split(" ")
terms_dict[term[0]] = term[1]
# privacies 확인
for i in range(len(privacies)):
privacy = privacies[i].split(" ") # privacy [수집된 날짜, 약관 종류]
limit = int(terms_dict[privacy[1]]) # 유효기간; privacy[1]: 약관 종류
year, month, day = map(int, privacy[0].split(".")) # 수집된 년,월,일
# 일단 러프하게 유효기간 계산
month += limit
day -= 1
if day == 0:
month -= 1
day = 28
# month가 12월을 넘긴다면 조정
while month > 12:
year += 1
month -= 12
# 현재 날짜가 유효기간을 지났는 지 확인
if t_year > year:
answer.append(i+1)
elif t_year == year:
if t_month > month:
answer.append(i+1)
elif t_month == month and t_day > day:
answer.append(i+1)
return answer
map()
을 활용하여 문자열로 주어진 날짜를 코드 한 줄로 세 개의 변수에 정수형으로 저장할 수 있다.
terms
에는 약관 종류와 유효기간이 하나의 문자열로 표현되어 있다. 이를 terms_dict
에 "약관 종류": "유효기간"
형태로 저장한다.
그 다음 privacies
의 원소 하나씩 확인한다. privacies
의 원소들 역시 날짜와 약관 종류가 하나의 문자열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를 리스트에 각각 분리해 privacy
변수에 저장한다.
privacy[0]
에 저장된 수집된 날짜에서 언제까지 유효한 날짜인지 구하는 작업을 거친 후, 현재 날짜 today
가 이미 유효한 날짜를 넘겼다면 인덱스를 answer
에 추가한다.
(참고로 모든 달이 28일까지만 존재한다는 제약사항 덕분에 가능한 풀이이다.)
def to_days(date):
year, month, day = map(int, date.split("."))
return year * 28 * 12 + month * 28 + day
def solution(today, terms, privacies):
months = {v[0]: int(v[2:]) * 28 for v in terms}
today = to_days(today)
expire = [
i + 1 for i, privacy in enumerate(privacies)
if to_days(privacy[:-2]) + months[privacy[-1]] <= today
]
return exp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