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최소직사각형

지원·2025년 3월 6일
0

Algorithm

목록 보기
5/6

최소직사각형

문제

명함 지갑을 만드는 회사에서 지갑의 크기를 정하려고 합니다.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명함들을 모두 수납할 수 있으면서, 작아서 들고 다니기 편한 지갑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는 지갑을 만들기 위해 디자인팀은 모든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조사했습니다.

아래 표는 4가지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나타냅니다.

명함 번호가로 길이세로 길이
16050
23070
36030
48040

가장 긴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각각 80, 70이기 때문에 80(가로) x 70(세로) 크기의 지갑을 만들면 모든 명함들을 수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번 명함을 가로로 눕혀 수납한다면 80(가로) x 50(세로) 크기의 지갑으로 모든 명함들을 수납할 수 있습니다. 이때의 지갑 크기는 4000(=80 x 50)입니다.

모든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나타내는 2차원 배열 siz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모든 명함을 수납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지갑을 만들 때, 지갑의 크기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1 ≤ i < j ≤ 100,000
0 ≤ k ≤ 9


입출력 예

ijkresult
11316
105055
31020

풀이

  • 처음엔 split() 함수를 활용하여 풀어보려 했고, 쉽게 해결 가능했다.
  • 이후 match()정규식을 활용한 해결법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학습 차원에서 아래처럼 풀어보게 되었다.
function solution(i, j, k) {
  let result = 0;
  for (let l = i; l <= j; l++) {
    let str = l.toString();
    // 동적으로 생성된 정규 표현식으로 k의 등장 횟수를 세기
    const matches = str.match(new RegExp(k, 'g'));
    // matches가 null일 경우 0을 반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matches의 길이를 반환
    result += matches ? matches.length : 0;
  }
  return result;
}

📌 match 함수

  • 문자열에서 정규표현식과 일치하는 부분을 찾아배열로 반환함
  • 일치하는 것이 없으면 null을 반환하므로 null 체크가 반드시 필요하다
// global 플래그 사용에 따른 차이

let str = "Hello World";
console.log(str.match(/o/));     // 첫 번째 'o'만 찾음
console.log(str.match(/o/g));    // 모든 'o'를 찾음 (global)
  • 정규식은 당연히 템플릿 리터럴도 활용 가능하다!
new RegExp(`${k}`, 'g')
new RegExp(k, 'g')
profile
Cat is cute and development is endless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