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와 GCP등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은 많이 있지만, 영문으로 되어있어 사용하기 다소 번거롭다.
나도 AWS EC2를 사용해 배포를 진행중 프리티어 사용 종료 후 요금이 나가는 이유와 사용량을 파악하기 어려워서 다소 많은 요금을 냈던 경험이 있어서 이번에는 네이버 클라우드 (NCP)를 사용 배포하기로 했다. AWS 배포 방법은 밑 링크를 참고(AWS EC2에 배포하기 - 24시간 서버 구동)
AWS로 django 배포하기
계정을 만들고 계좌가 연결 되었다면 콘솔 창으로 이동
Virtual Private Cloud로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객 전용 사설 네트워크이다.
생성하기 버튼 클릭
• IP 주소 범위는 10.0.0.0/16, 172.16.0.0/16, 192.168.0.0/16 중에서 선택
→172.16.0.0/16 선택
공인 IP를 부여받고 인터넷 통신을 하려고 public으로 생성
공인 IP를 받으면 요금이 나감
만들어둔 vpc와 연결하고 ip 주소 범위를 설정
Network ACL은 default로 설정
internet Gateway를 Y(public)으로 설정
공인 IP 연결을 위해서는 반드시 Public Subnet을 선택해야한다
원하는 os 타입을 고른다
나는 ubuntu를 사용
생성한 vpc와 Subnet을 연결
서버 스팩은 무료인 Micro를 선택
Network Interface의 ip는 자동할당
신청된 공인 IP는 보유하신 동안 요금이 과금되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반납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월 이용료: 4,032원 )서버 생성시 공인 IP를 함께 생성하시려면 Subnet 타입은 Public Subnet, 서버 개수는 1개여야 합니다.
인증키가 없다면 인증키를 생성한다 (서버 접속에 필요한 암호를 생성) 분실시 곤란할 수 있음
서버가 잘 생성
ACG(Access Control Group)는 서버 간 네트워크 접근 제어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IP/Port 기반 필터링 방화벽 서비스입니다. ACG를 이용하면 기존 방화벽(iptables, ufw, Windows 방화벽)을 개별적으로 관리할 필요 없이 서버 그룹에 대한 ACG 규칙을 손쉽게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ACG를 사용하거나 ACG 규칙을 직접 생성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ACG설정은 밑 주소 참고
https://guide.ncloud-docs.com/docs/server-acg-vpc
나는 다음과 같이 설정
포트는 22(mac) 와 3389(window)모두 허용함
window는 putty를 사용해 접속했다.
https://www.putty.org/
Putty로 리눅스 서버 접속하는 방법 참고
https://wikidocs.net/169079
나는 mac 터미널로 접속..
접속하기 위해서 관리자 비밀번호를 확인
인증키를 넣고 관리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확인
공인 ip는 server 상세 정보에서 확인 가능
ssh [관리자명]@[공인ip주소]
만든 Linux server에 잘 접속 된것을 볼 수 있다.
접속한 ubuntu서버에 패키지 설치
가상환경 venv 생성, 접속
github에서 배포할 장고 프로젝트를 가져온다.
이제 vsc에서 사용한 base와 같은 사용법으로 사용가능**
서버실행은 다음과 같은 8000포트를 사용**
나는 drf 서버를 배포했다. ~~:8000으로 서버가 잘 열렸다.
안녕하세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입니다.
네이버클라우드의 기술 콘텐츠 리워드 프로그램 ‘이달의 Nclouder(3월)’ 도전자로 초대합니다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주제로 4/4(목) 23시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3월 작성 콘텐츠 한정 신청 가능)
Ncloud 크레딧을 포함한 다양한 리워드가 준비되어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부탁드립니다.
https://blog.naver.com/n_cloudplatform/223380729192
신청 링크
https://navercloud.typeform.com/to/lF8NUaC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