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network라는 모듈을 따로 만들어서 api 연결을 하는 곳/메인화면 UI를 분리하였다.

ktor를 쓰기 위해 다음을 임포트한다.
이번 실습에 사용한 REST API는 갠적으로 좋아하는 애니메이션 릭앤모티의 캐릭터를 소개하는 GET 메서드이다.

다음과 같이 기본 링크를 맞춰준다.
defaultRequest {url("https://rickandmortyapi.com/api/")}
그 후에는 install(Logging)/install(ContentNegotitation) 세팅을 끝낸다.
@Serializable을 통해 data class를 선언한다. Ktor에서 Serializing/deserializing은 요청을 하고 응답을 받을 때 사용하는 방식이다. 나의 경우 요청할 데이터 양식은 다음과 같았다.

그 후, HttpClient를 선언한 클래스 내에서 get데이터를 하였다.

앞선 클래스와 데이터를 불러온다.
그 후 suspend fun getCharacter를 불러오는데 코루틴을 사용했으므로, LaunchedEffect를 사용한다.


짜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