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드밸런서
Load Balancer란 하나의 인터넷 서비스가 발생하는 트래픽이 많을 때 여러 대의 서버가 분산 처리하여 서버의 로드율 증가, 부하량, 속도 저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분산 처리하여 해결해주는 서비스이다.
👉 ALB
- L7 단의 로드밸런서
- HTTP/HTTPS 프로토콜의 헤더를 보고 적절한 패킷으로 전송한다.
- IP주소 + 포트번호 + 패킷 내용을 보고 스위칭한다.
- IP 주소가 변동되기 때문에 client에서 접근할 DNS Name을 이용해야 한다.
- L7 단을 지원하기 때문에 SSL 적용이 가능하다.
👉 NLB
- L4 단의 로드밸런서
- TCL/IP 프로토콜의 헤더를 보고 적절한 패킷으로 전송한다.
- IP + 포트번호를 보고 스위칭한다.
- 할당한 Elastic IP를 Static IP로 사용이 가능하여 DNS Name과 IP주소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 SSL 적용이 불가능하여 애플리케이션에서 따로 적용해 주어야 한다.
👉 내가 만든 거 기준 👈
✔️ Amazon ALB
- internet-facing
- vpc, subnet 설정 (public subnet)
- 보안그룹 설정
- 리스너 & 라우팅 설정
- 타겟그룹 생성
- EC2 또는 IP 등 원하는 타겟 설정
- ECS 서비스에서 연결하여 타겟 설정 가능
✔️ Amazon NLB
- internal
- vpc, subnet 설정 (private subnet)
- 리스너 & 라우팅 설정
- 타겟그룹 생성
- EC2 또는 IP 등 원하는 타겟 설정
- ECS 서비스에서 연결하여 타겟 설정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