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고
SEB 36기 과정이 11/8(월)에 시작되었다.
1주차의 과정을 진행해 본 소감은, 걱정했던 것보다는 좀 낫다(?) 인 것 같다.
걱정했던 점들을 나열해보자면,
- 캠을 항상 켜놓고 있어야 한다(?) -> 캠은 zoom을 통한 세션이거나 페어와의 시간때만 키면 되어서 개인 공부시간에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
- 22주 과정인 만큼 진도가 매우 빠를 것이다(?) -> 생각보다 홀로 공부할 시간이 많이 주어지는 편이고, 실습 시간도 많기 때문에 농땡이만 부리지 않는다면 충분히 따라갈 수 있을 것 같다.
- 온라인 교육이기 때문에 강제적인 것들이 적을 것이다(?) -> section 사이에 HA(시험)도 존재하고, 코플릿을 통한 문제해결이나 과제 당일 제출 등등 충분히 구속될만한 부분들이 많다.
쓸데없는 걱정이었고, 코드스테이츠에서 이끌어주는 대로 잘 따라가기만 하면 될 것 같다.
개선해야 할 점
1. TIL을 간단하게라도 꾸준히 작성을 하자(블로그).
2. 눈으로 보고 이해가 갔더라도 우선 정리해보자.
Day 1 - OT
Day 2
- 함수 선언식 vs 함수 표현식 vs 화살 표현식 ⇒ 새로 정리하자
- chrome 개발자 콘솔창 단축키 → option + command + i
- 크롬 개발자 도구 콘솔창 확대 방법 → command + "+"
- ==와 ===의 차이점 : ===가 더 엄격함 (타입까지 같아야 true)
1 == 1
1 == '1'
1 == true
1 === 1
1 === '1'
1 === true
- undefined[값이 할당되지 않음] → falsy한 값
- 빈 문자열이 아닌 모든 문자열 → truthy한 값
- 기억해야 할 6가지 falsy 값 (if 문에서 false로 변환되므로, if 구문이 실행 안됨)
false,null,undefined,0,NaN,''
Day 3
- str[index]로 접근은 가능 - ex) let str='code'에서 str[0]='c';
- string type과 다른 type 사이에 + 연산자를 쓰면 string 형식으로 변환
- str.length - 문자열 전체 길이 반환
1. string methods
- 모든 string method는 immutable(원본 불변)하다.
- str.indexOf(searchValue)
- arguments - 찾고자 하는 문자열
- return value - 처음 일치하는 index, 찾는 문자열이 없다면 -1
- str.split(seperator)
- arguments - 분리 기준이 될 문자열
- return value - 분리된 문자열이 포함된 배열
- str.substring(start, end)
- arguments - 시작 index, 끝 index
- return value - 시작과 끝 index 사이의 문자열
- str.toLowerCase(), toUpperCase() - 대소문자 변환
- str.slice(0,a) - index 0부터 a까지 잘라서 리턴
- str.slice(양수) - index 0부터 값까지 자르고 나머지 리턴, 음수의 경우 맨 뒤 index부터 값까지 남기고 리턴
추가로 봐야할 것들
- trim, 공백, 탭, Carrige return, return
- match, replace, 정규 표현식
- template literal → 백틱 ``을 사용하고 변수들은 ${value}의 형태로 넣어주면 됨
Day 4
- Math.floor() - 소수점 버림(내림연산), Math.abs() - 절대값 반환
- flag 남발 금지. 메소드 분리를 항상 생각해보자.
Day 5
1. 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