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https://bbiguduk.gitbook.io/swift 에 나오는 스위프트 문법을 공부하면서 새롭게 알게 된 지식들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 For-In 루프 (For-In Loops) for-in 루프를 돌기 위해서는 해당 콜랙션은 시퀀스(Sequence) 프로토콜을 준수해야 한다. 카운터 값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_로 대체할 수 있다. stride(from:to:by:) : 반열림 범위 연산자(..<)와 같은 기능이되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stride(from:through:by:) : 닫힌 범위 연산자(...)와 같은 기능이되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Switch switch 구문은 여러 패턴 중
이 글은 https://bbiguduk.gitbook.io/swift 에 나오는 스위프트 문법을 공부하면서 새롭게 알게 된 지식들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 배열 (Arrays) 배열은 순서대로 같은 타입의 값을 저장한다. Swift의 Array 타입은 Foundation의 NSArray 클래스와 연결(Bridge)되어 있다. 빈 배열 생성 (Creating an Empty Array) 컨텍스트 상에서 타입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로 해당 타입의 빈 배열로 만들 수 있다. 기본값 배열 생성 (Creating and Array with a Default Value) Array 타입은 크기를 고정하여 기본 값을 할당하여 배열을 생성하
이 글은 https://bbiguduk.gitbook.io/swift 에 나오는 스위프트 문법을 공부하면서 새롭게 알게 된 지식들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 Swift의 String 타입은 Foundation의 NSString 클래스와 연결되어 있다. Foundation을 import 하면 캐스팅 없이 String 타입으로 NSString 메서드 사용 가능하다. 문자열 리터럴 (String Literal) 여러 줄을 입력할 때는 “””을 사용한다. (다음 줄부터 입력 시작) “”” 안에서 줄바꿈을 하되 적용하지 않을 때는 \를 사용한다. 공통 들여쓰기는 무시되고, 특정 줄에만 들여쓰기가 되어 있을 경우 적용된다.
The Basics > 이 글은 https://bbiguduk.gitbook.io/swift 에 나오는 스위프트 문법을 공부하면서 새롭게 알게 된 지식들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 상수와 변수 (Constants and Variables) 코드에서 저장한 값이 변경되지 않는 값이라면, 무조건 let 키워드로 상수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일단 let으로 설정하고 바꾸어야 할 때 로 var로 바꾸기를 습관화하자. 중요한 건 아니지만, 상수는 설정(set)한다고 하고, 변수는 초기화(initialize)한다고 한다. 여러 개의 변수나 상수 동시 선언 가능하다. 타입 명시 (Type Annotations) 타입 명시할 때는 공백 한 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