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lin] 가로로 공백을 기준으로 입력받아서 출력하기

youneeo·2023년 10월 30일
0
fun main(){

val (a, b) = readLine()!!.split(" ").map { it.toInt()}

println(${a})
println(${b})

}

readLine!! =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겠다. 는 뜻이고
.split = 나누겠다 는 뜻이다 () 괄호안에 ("")과 (" ")에는 차이가 있는데.

예를들어
hello 를 입력했다고 가정하자.
"" = 빈문자열을 기준으로 분리하겠다. 는뜻이고.
출력시에는 ["","h","e","l","l","o",""]
라고 출력된다.

여기서 알아야할것은 보시다시피 .split로 구분하겠다는 함수를 사용할시에 구분할때 리스트 형태로 나눠진다.
.map 함수는 주로 컬렉션 (예: 리스트, 세트)의 각 요소에 함수를 적용하여 결과 컬렉션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호출되는 대상이 반복가능한것이여야한다. 반복 가능한 것 이라는 표현은 프로그래밍에서 단순 반복을 의미하는게 아니고, 해당 객체에 여러 항목 또는 요소를 포함하고있으며, 접근가능한것을 뜻한다.

다른 예로, 배열, 세트, 맵 등도 반복 가능한 객체이다. 이들은 내부의 요소들을 순회할 수 있으므로 .map과 같은 함수를 사용하여 각 요소에 연산을 적용할 수 있다.

추가로. map에 대해서 정리하자면

.map{ it.toInt()}

it = 각각의 리스트(배열) 을
.toInt() = 정수로
.map = 변환하겠다

라고 이해하면 좋을것같다


profile
정돈된 공간에서 생각하기를 좋아합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