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going

용가리·2024년 9월 9일
1

반갑습니다.
이고잉 님의 깃 강의를 이제서야 다 들었네요.
아주 알찬 강의 해주신 생활코딩 이고잉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예비군으로 밀린 강의들을 해치우니 기분이 후련합니다.

이번에 다뤄볼 주제는 깃에 대해서입니다.
저도 깃과 깃허브를 꽤 사용했는데요, 사실 의미는 잘 모르고 검색만 갈겨서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깃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바탕이 된다면 다른 개발자분들과 원활한 협업을 할 수 있습니다.

Git이 뭔가요??

Git이란, 버전 관리 도구로서 여러명이 하나의 프로젝트를 할 때 서로의 업무를 버전간 충돌 없이 원활히 이뤄나갈 수 있도록 돕는 도구입니다.
변경사항을 추적/관리하는 시스템이기에 VCS로 불립니다.
(버전 콴리 시스템)

말 그대로 버전 관리 시스템이지만, 상당히 복잡합니다.
여러 버전이 겹치는 일도 비일비재하고 고치는 방법도 어렵죠.
그럼에도 Git을 체득한다면 훌륭한 업무 효율성을 보장하기에 개발자라면 기본적으로 사용할 줄 알아야 하는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Git의 설치 방법

Git은 https://git-scm.com/downloads 에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설치를 끝내셨다면 계정을 만드시고
요구하는 인증을 마치시면 깃에 발을 들이신겁니다.
환영합니다 !!

레포지토리와 .git 파일

깃은 터미널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GUI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둘 다 알아두시는 것이 이용에 무리가 없겠습니다.

Repository

레포지토리란, 소프트웨어 소스 코드나 파일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저장소를 의미합니다.
Git과 같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에서는 개발자가 레포지토리에 작업물을 Push하고, 이용자들은 이를 Pull하여 사용합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그냥 폴더입니다.
Git에서 어떤 폴더를 Repository로 지정하면 .git폴더가 생성됨과 동시에 그 폴더 내에서의 소스 코드나 파일 등을 추적/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

깃에서 레포지토리를 만드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1. github에서 생성
  2. 폴더를 깃이 관리하는 레포지토리로 변경

1번은

에서 New 버튼을 통해 만드실 수 있습니다.

2번은
터미널 환경에서 cd(change directory)로 본인 디렉토리까지 도착하신 다음

git init

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시면 해당 폴더 내에 .git폴더가 생성됩니다.

.git폴더 ?

.git 폴더는 프로젝트에서 Git으로 버전 관리를 시작할 때 생성되며, Git이 저장소의 모든 데이터와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Git은 이 폴더를 통해 커밋 이력, 브랜치, 원격 저장소, 스테이징 상태 등을 관리합니다.

.git 폴더에는 여태까지의 커밋 id와 staging 영역의 index들, 브랜치/태그와 같은 참조 정보, 깃 설정 등이 들어가 있습니다.
깃이 동작하는 데에 필요한 파일들이 들어가 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뭔 소린지 모르겠다구요?
이해합니다. 저도 잘 모릅니다.
다음 게시글까지 읽어보신다면 어느정도 감이 오실 거에요.

레포지토리까지 만드셨다면 이제 git을 사용할 모든 준비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다음 게시글에서는 git에서 자주 사용되는 다양한 명령어를 통해 깃을 사용하는 방법을 익혀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