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사용법(1) - setting하기, commit하기

신용철·2020년 10월 21일
0

1. git의 사용목적: 변경사항을 version 으로 저장하는 것

  • Working tree: 버전으로 관리되지 않은 작업문서들의 상태를 말합니다.
  • Staging Area: working tree에 있는 작업 문서들 중 버전으로 관리대상으로 지정된 파일들의 상태입니다. → git add로 구현
  • Repository: version이 저장되는 곳으로, .git폴더 → git commit을 통해 지정됩니다.

2. git setting하기

  • git으로 버전을 관리하고자 하는 폴더를 생성합니다.

  • git에 버전관리할 폴더라고 지정해줍니다. terminal에서 해당 폴더에 접근한 후 git init을 입력합니다. ls -al을 입력하면 .git이라는 파일이 새로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참고로 ls -al은 폴더 상태를 표시해줍니다.). 단, 탐색기에서는 .git이 보이지않습니다. terminal에서만 확인됩니다.

  • 버전 관리에 관련된 내용들이 .git 내부의 여러 폴더와 파일들에 저장되기 때문에 .git 폴더를 지워서는 안됩니다.

  • 폴더에 파일을 저장하고 git status를 입력하면 commit, push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아래와 같이 표시됩니다.
    1) No commits yet: 아직 버전관리가 되고 있지 않다는 뜻입니다.
    2) Untracked files: 관리대상이 아닌 파일목록을 표시합니다. 여기서는 hello1.txt파일이 해당됩니다.

3. git 저장소에 commit하기 - 버전관리대상으로 지정하기

  • git add를 입력하여 working tree에 있는 문서를 version관리 대상으로 지정합니다. 아래와 같이 Changes to be committed: 이 표시되며 commit할 수 있는 파일의 목록을 보여줍니다. 여기서는 hello.txt라는 파일이 새로 추가되었다고 알려주네요.
  • git commit -m “커밋에 관련한 메모 작성"을 입력하여 로컬 repository에 저장해줍니다. 이를 commit한다고 말합니다.
    1) Permission denied: 무시해도 되는 에러입니다.
    2) noting to commit: Staging Area에 버전관리할 대상이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3) working tree clean: working tree에 버전관리할 문서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git log을 입력하여 버전이 잘 만들어졌는지(commit이 잘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1) commit ~ : 버전에 대한 고유 번호를 의미합니다.
    2) Author: commit 한 사람을 가리킵니다.
    3) Date: commit한 날짜를 알려줍니다.
    4) Message 1: commit 메세지입니다. (앞에서 git commit -m “Message 1”로 commit했기 때문에 이렇게 출력됩니다.)
profile
iOS develop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