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LID] S - Single Response Principle

ChoiYongHyeun·2024년 3월 26일
1

프로그래밍 공부

목록 보기
9/15
post-thumbnail

최근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폴더 구조를 어떻게 짤지 , 혹은 디자인 패턴을 어떻게 할지 여러 아티클을 읽다가

자주 나오는 아키텍쳐에 대한 이야기를 보고

도대체 아키텍쳐란 무엇일까 ? 라는 근본적인 물음으로 시작하여

클린 아키텍쳐 책을 구매하여 읽기 시작했다.

그 중 아키텍쳐의 5가지 원칙인 SOLID 원칙 가보자구


클린 아키텍쳐를 공부하는 이유

설계와 아키텍쳐의 정의

설계는 무엇이고 혼동은 무엇일까 ?

책에서 저자는 두 단어의 아무런 차이가 없다 이야기 한다.

다만 설계는 저수준의 구조 또는 결정 사항 등을 의미하지만, 아키텍쳐는 설계보다 고수준의 무언가를 가리킬 때 사용된다고 한다.

하지만 공통된 로직을 공유하기 때문에 저자는 이런 비교가 무의미하다고 한다.

프로그래밍을 거대한 집을 설계하는 것에 비유를 들어 설명하자면

거대한 집을 짓기 위한 아키텍트가 있다고 해보자

이 아키텍트는 여러 아키텍쳐를 가지고 있다. 거실 아키텍쳐, 화장실 아키텍쳐, 안방 아키텍쳐

이렇게 거대한 아키텍트는 여러 아키텍쳐의 조합으로 이뤄져있다.

아키텍쳐안에는 저수준의 세부 사항 들이 존재한다. 콘센트의 위치 , 침대의 위치 , 의자의 위치 등 말이다.

이처럼 고수준의 결정사항을 지탱하는 것은 저수준의 설계사항의 구성으로 이뤄진 아키텍쳐의 구성으로 이뤄져있다.

소프트웨어도 마찬가지이다. 현시대의 거대한 소프트구조는 하나의 큰 덩어리가 아닌 여러 설계와 아키텍쳐의 조합 , 즉 모듈과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이뤄져있다.

어떻게 모듈과 컴포넌트를 구성하느냐에 따라 프로그램 구조가 명확해질지, 스파게티처럼 아슬아슬하게 꼬여 설계되는지가 결정된다.

목표

좋은 아키텍쳐를 설계하고자 하는 이유는 필요한 시스템을 만들고 유지보수하는데 투입되는 입력을 최소화 하는데 있다.

soft ware 라는 단어에서 알 수 있듯 프로그래밍은 유연하고 부드러워야한다.

유연하고 부드럽다는 의미는 확장과 수정에 대해서 열려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클린 아키텍쳐는 확장과 수정에 열려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 할 수 있게 해준다.


Single Response Principle

단일 책임 원칙인 SRP 는 종종 하나의 함수는 하나의 일만 해야 한다 라는 의미로 잘못 전달되는 경우가 있는데

하나의 함수가 하나의 일만 해야 한다는 원칙은 다른 원칙 명이 있으며 SRP 는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모듈과 컴포넌트 들은 결국

이해관계자 , 사용자 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져있다.

이 때 이해 관계자, 사용자들을 actor 라는 단어로 묶어 설명하자면

모듈,컴포넌트의 수정은 하나의 액터에 대해서만 책임져야한다. 로 정의 할 수 있다.

책임을 진다는 것은 컴포넌트의 수정 단위가 하나의 액터에게만 영향을 끼쳐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러 액터들이 하나의 컴포넌트에 응집되어 있다면 (cohensive) SRP 원칙을 지키고 있지 못함을 의미한다.

SRP 를 지키지 못한 경우

교재에서는 class 를 이용하여 설명하는데 나는 리액트를 공부하고 있으니 리액트를 기준으로 예시를 만들어 생각해보려 한다.

impor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todo, setTodo] = useState([]);

  useEffect(() => {
    const getTodos = async () => {
      const endPoint =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todos';
      const res = await fetch(endPoint, { method: 'GET' });
      const body = await res.json();

      setTodo(body);
    };
    getTodos();
  }, []);

  const filterTodo = (todo) => todo.slice(0, 5);

  return (
    <article>
      <h1>Todo List TOP 5</h1>
      <ul>
        {filterTodo(todo).map(({ title, completed }) => (
          <li style={{ color: completed ? 'blue' : 'red' }}>{title}</li>
        ))}
      </ul>
    </article>
  );
}

현재 App 컴포넌트의 목적은 모든 todos 를 패칭해온 후 그 중 상위 5개의 todo들을 렌더링 하는 것이다.

다만 현재의 App 컴포넌트는 여러가지 actor 가 조합된 형태로 존재한다.

  1. todo 데이터를 패칭해오는 fetching actor
  2. 패칭해온 todo 데이터를 상위 5가지로 필터링 하는 filter actor
  3. 필터링된 todo 데이터를 렌더링 하는 render(return) actor

SRP 를 지키지 못했을 때의 단점

수정과 확장에 개방적이지 못하다.

App 컴포넌트에서 fetching actor 를 수정하게 되면 수정한 결과의 책임은 getTodos actor 에게만 있느 것이 아닌

2, 3 번째 actorfilter actor , render actor 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만약 fetching actor 을 사용하는 다른 곳에서 나는 완료되지 않은 todos 만 패칭해오면 좋겠어 라는 의견을 내어

fetching actor 를 변경한다고 해보자

하지만 애석하게도 여전히 App 컴포넌트는 fetching actor 의 변경에 영향을 받지만 이 사실을 모르고 개발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impor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todo, setTodo] = useState([]);

  useEffect(() => {
    const getTodos = async () => {
      const endPoint =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todos';
      const res = await fetch(endPoint, { method: 'GET' });
      const body = await res.json();
      setTodo(body.filter(({ completed }) => !completed));
    };
    getTodos();
  }, []);

  const filterTodo = (todo) => todo.slice(0, 5);

  return (
    <article>
      <h1>Todo List TOP 5</h1>
      <ul>
        {filterTodo(todo).map(({ title, completed }) => (
          <li style={{ color: completed ? 'blue' : 'red' }}>{title}</li>
        ))}
      </ul>
    </article>
  );
}

fetching actor 의 변경 사항이 filter actor , render actor 에게도 모두 영향을 미쳐 App 컴포넌트의 목적과 맞지 않은 결과를 초래했다.

이처럼 각자의 코드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 즉 의존적인 관계의 컴포넌트는 개별적인 수정 혹은 기능 추가에 있어서 매우 폐쇄적이다. 하나를 수정하면 얽혀있는 모든 것을 수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컴포넌트의 가독성이 떨어지고 관리가 어려워진다.

위처럼 App 컴포넌트에 여러 actor 가 얽히고 섥혀있기 때문에

App 컴포넌트의 목적이 무엇인지 알기가 쉽지 않다.

데이터를 패칭해오는 것인지, 데이터를 필터링 하는 것인지, 렌더링 하는 것인지 말이다.

SRP 를 지켜 리팩토링 해보자

수평과 확장에 용이 할 수 있도록 의존성을 제거해보자 (DIP)

사실 이 부분은 SRP 에 대한 내용보다 DIP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인 의존성 역전에 가깝다. 모듈간의 순차적 흐름에 의한 의존성에서 다른 의존성 체계를 구성함으로서

모듈 기능의 흐름 방향이 의존성을 따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 특정 의존성 체계를 설립하고 각 모듈의 기능 흐름 방향을 단방향적으로 만들지 않는 과정을 살펴보자

SRP 가 지켜지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가장 직관적인 지표는

모듈 하나를 수정하면 그와 관련된 여러 모듈을 모두 수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위 예시에서는 각 모듈 간의 의존성이 얽히고 섥혀 모듈 하나가 수정되면 모듈의 조합으로 이뤄진

컴포넌트가 본연의 기능을 잃기에 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모듈을 새로 만들어야 한다.

위 예시의 3가지 actor 중 하나만 변경하더라도 모든 actor 를 수정하거나 추가해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는 여러 모듈이 서로 높은 응집성을 보이며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확장에 용이 할 수 있도록 우선적으로 actor 들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의존 관계를 체계화 하여야 한다.

현재의 App 컴포넌트의 결과는 fetching actor -> filter actor -> render actor 의 결과값에 따라 변경되며 App 컴포넌트의 기능 흐름의 방향과 같이 의존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론 의존성 관계를 다른 의존성을 갖도록 의존성 체계를 변경해야 한다.

단방향적 의존성 관계의 방향은 해당 기능 변화의 책임이 의존성 방향을 따라 아래로 흐르게 된다.

render actor 의 의존성 정의

export default function App({num = 5}) {
  ...
  return (
    <article>
      <h1>Todo List TOP {num}</h1>
      <ul>
        {filterdTodo(todo, {num}).map(({ title, completed }) => (
          <li style={{ color: completed ? 'blue' : 'red' }}>{title}</li>
        ))}
      </ul>
    </article>
  );
}

App 컴포넌트의 actorrender actor 하나로 변경함으로서 항상 App 컴포넌트의 수정은 오로지 render actor 에만 영향을 미치게 변경한다.

또한 render actor 의 변경(렌더링 할 todo 의 개수)이 오로지 렌더링 결과에만 책임을 질 수 있도록 변경 가능한 내용을 props로 정의해주고 parameter 로 전달한다.

filter actor 의 의존성 정의

  const filterTodo = (todo) => todo.slice(0, 5); 에서
  const filterdTodo = (todo, num , start = 0) => todo.slice(start, num); 로 변경

filter actor 는 항상 인수로 받은 todo 를 필터링한 결과값만을 반환하도록 정의하고

확장에 용이 할 수 있도록 세부 사항에 따라 결과 값이 바뀌도록

객체 지향의 다형성 원칙을 적용시켜 정의한다.

fetching actor 의존성 정의

fetching actor 는 항상 모든 데이터를 패칭해오도록 정의해줘야 한다.

만약 위처럼 fetching actor 를 변경해주고 싶다면 변경된 새로운 독립적인 fetcing actor 를 만들도록 하거나 fetching actor 가 세부사항에 따라 다른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확장해줘야 한다.

export default function App({ num = 5, isUncomplete = false }) {
  const [todo, setTodo] = useState([]);

  useEffect(() => {
    const getTodos = async () => {
      const endPoint =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todos';
      const res = await fetch(endPoint, { method: 'GET' });
      const body = await res.json();

      const result = body.filter(({ completed }) =>
        isUncomplete ? !completed : true,
      );

      setTodo(result);
    };

    getTodos();
  }, [isUncomplete]);
  ...

이처럼 변경해주면 fetching actorisUncomplete 라는 세부 사항에 따라 다르게 작동하게 된다.

현재의 방법은 actor 들의 수정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존재를

컴포넌트 내의 세부 사항인 props 에 따라서 변경되도록 의존성을 변경시킨 것이다.

SRP 를 지켜 컴포넌트의 목적을 명확히 하자

impor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num = 5, isUncomplete = false }) {
  const [todo, setTodo] = useState([]);

  useEffect(() => {
    const getTodos = async () => {
      const endPoint =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todos';
      const res = await fetch(endPoint, { method: 'GET' });
      const body = await res.json();

      const result = body.filter(({ completed }) =>
        isUncomplete ? !completed : true,
      );

      setTodo(result);
    };

    getTodos();
  }, [isUncomplete]);

  const filterdTodo = (todo, num, start = 0) => todo.slice(start, num);

  return (
    <article>
      <h1>Todo List TOP {num}</h1>
      <ul>
        {filterdTodo(todo, num).map(({ title, completed, id }) => (
          <li key={id} style={{ color: completed ? 'blue' : 'red' }}>
            {title}
          </li>
        ))}
      </ul>
    </article>
  );
}

이렇게 actor 별 의존성을 제거해주었지만 여전히 코드를 한 눈에 알아보기 힘들다는 것은 동일하다 .

App 컴포넌트의 주 목적인 render actor 만 존재하도록 위 fetching , filter actor 들을 따로 커스텀훅으로 빼주자

export default const useFilteredTodo = (num, isUncomplete) => {
  const [filtedTodo, setFiltedTodo] = useState([]);

  useEffect(() => {
    const getTodos = async () => {
      const endPoint =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todos';
      const res = await fetch(endPoint, { method: 'GET' });
      const body = await res.json();

      const result = body.filter(({ completed }) =>
        isUncomplete ? !completed : true,
      );

      const filterdTodo = (todo, num, start = 0) => todo.slice(start, num);

      setFiltedTodo(filterdTodo(result, num));
    };

    getTodos();
  }, []);

  return [filtedTodo, setFiltedTodo];
};
impor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import useFilteredTodo from './hook/useFilteredTodo';

export default function App({ num = 5, isUncomplete = false }) {
  const [filterdTodo, _] = useFilteredTodo(num, isUncomplete);

  return (
    <article>
      <h1>Todo List TOP {num}</h1>
      <ul>
        {filterdTodo.map(({ title, completed, id }) => (
          <li key={id} style={{ color: completed ? 'blue' : 'red' }}>
            {title}
          </li>
        ))}
      </ul>
    </article>
  );
}

class 기반에서 SRP 를 지키면서 확장 하기 위해 Facade pattern 을 이용하는데
리액트 컴포넌트에선 HOC (Higher order component)를 이용하여 해당 패턴과 비슷하게 하여 컴포넌트를 확장한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SOLID 원칙을 마저 다 읽고 공부해봐야겠다.

정리

SOLID 원칙 중 하나인 SRP (Single Response Principle) 은 중간 수준의 아키텍쳐 (거대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여러 모듈과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이뤄진 아키텍쳐) 를 수정 할 때
하나의 수정 사항이 오직 하나의 액터에 대해서만 책임 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일만 해야 한다는 것과 혼동하지 말자 , 컴포넌트는 여러 가지 일을 할 수 있다.

하나의 액터에 대해서만 책임을 진다는 것은, 한 액터의 수정이 다른 액터들에게 영향을 끼치면 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어떤 액터의 수정이 다른 액터에게도 영향을 미친다면 두 액터가 의존성을 갖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 만약 기능을 확장 할 것이라면 의존성을 다른 요소로 역전시키거나 다른 독립적인 액터를 추가해주도록 하자

profile
빨리 가는 유일한 방법은 제대로 가는 것이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