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Code TIL - JS(연산자, 제어문)

Younggwang Kim·2020년 11월 19일
0

Wecode

목록 보기
4/28

연산자

  • 연산자는 산술, 문자 결합, 대입, 증감, 비교, 논리, 삼항 조건 연산자가 있다.
  1. 산술 연산자
  • 산술 연사자에는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가 있다.

2.문자 결합 연산자

  • 문자 결합 연산자는 피연산자(연산 대상 데이터)가 문자형 데이터다. 여러 개의 문자를 하나의 문자형 데이터로 결합할 때 사용한다.
    (var a = "Javascript"
    var b = "싫어"
    ==> a+b = "Javascript 싫어" )
  1. 대입 연산자
  • 대입 연산자는 연산된 데이터를 변수에 저장할 때 사용한다.
    • A = B는 B를 A에 넣는다.
    • A += B는 A = A+B
    • A -= B는 A = A-B
    • A = B는 A = AB
    • A /= B는 A = A/B
  1. 증감 연산자
  • 증감 연산자는 숫자형 데이터를 1씩 증가시키는 증가 연산자와 1씩 감소시키는 감소 연산자가 있다.

    • 변수--; 또는 --변수;
    • 변수++; 또는 ++변수;
      ex)
    • var A = ++B; ==> B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키고 A에다가 저장
    • var A = B++; ==> B의 값을 A에 저장 시키고 B를 1만큼 증가
  1. 비교 연산자
  • 두 데이터를 크다, 작다, 같다와 같이 비교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다.
    • < , > , <=, >= , ==, != , === , !== 가 있다.
    • == , != 대신 ===와 !==를 사용하는게 자료형까지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다.
  1. 논리 연산자
  • 논리 연산자는 피연산자가 논리형 데이터인 true 또는 false로 결과 값을 반환한다.
    • ||(or) ==> 피연산자중에 하나라도 true 값이 존재하면 true를 반환.
    • &&(and) ==> 하나라도 false값이 존재하면 false를 반환.
    • !(not) ==> 피연산자의 값이 true이면 flase값을 반환.
  1. 삼항 조건 연산자
  • 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실행 결과가 달라지는 삼항 연산자로 연산을 위해 피연산자가 3개필요.

연산자 우선순위!!

  1. ()
  2. 단항 연산자(--, ++)
  3. 산술 연산자(+ , -)
  4. 비교 연산자(>, <)
  5. 논리 연산자(&&, ||)
  6. 대입 연산자(=, !==)

제어문

제어문은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조건에 따라 제어하는 조건문과, 조건문과 변수에 일치하는 경우의 값에 따라 코드를 제어할 수 있는 선택문, 특정 코드를 반복해 실행하는 반복문이 있다.

  1. 조건문
  • 조건문은 조건식의 값이 참인지 거짓인지에 따라 코드를 제어한다.
    • if문 : if(true) {}; 조건식을 만족할 경우에만 코드를 실행한다.
    • else문 : 조건식을 만족할 경우와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 따라 실행되는 코드가 달라진다.
      if(조건식) {코드1}
      else{코드 2};
    • if else문 : 두 가지 이상의 조건식과 정해 놓은 조건을 만족하지 않았을 때 실행되는 코드로 이루어져 있다. 5개까지 가능하다.
      if(조건식1) { 코드1}
      else if(조건식2) {코드2}
      else if(조건식3) {코드3}
  1. 선택문
  • 선택문인 switch 문은 변수에 저장된 값과 switch 문에 있는 경우(case)의 값을 검사하여 변수와 경우의 값에서 일치하는 값이 있을 때 코드를 실행한다.
    • 사용법
      var 변수 = 초깃값;
      switch(변수) {
      case값1: 코드1;
      break;
      case값2: 코드2;
      break;
      case값3: 코드3;
      break;

      default: 코드5;
      }

  1. 반복문
  • 반복문을 이용하면 코드를 원하는 횟수만큼 반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 while 문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코드를 여러 회 반복하여 실행한다.
      var i = 1;
      while(i<10) {
      코드 실행;
      증감식;
      }
    • for 문
      while 문과 사용법은 같지만 더 편해 사용 빈도가 높은 편이다.
      for(초깃값; 조건식; 증감식) {
      코드실행;
      }

    -break문
    반복문을 강제로 종료할 때 사용한다.

    -continue문
    while문에선 다음에 오는 코드는 무시하고 바로 조건식으로 이동, for문에선 바로 증감식으로 이동하여 증감 연산을 실행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