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서블릿,JSP에서의 웹 애플리케이션 코드의 문제점은 UI와 비즈니스 로직을 수정하는 라이프 사이클이 다르다는 점이다
예를들면 , UI를 일부 수정하는 일과 비즈니스 로직을 수정하는 일은 각각
다르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므로 UI를 변경하려면 비즈니스로직까지 수정하는 현재의 서블릿 JSP 는
유지보수가 쉽지 않다.
깃허브에 올린 회원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서블릿과 JSP로 처리되던것을
컨트롤러(Controller)와 뷰(view)라는 영역으로 서로 역할을 나눈것을 말한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보통 mvc패턴을 사용
컨트롤러가 모든 서비스로직을 수행하고, view가 데이터를 찾아 HTML을 보여주려할떄 데이터를 이것저것 찾지 않아도 Model만 찾으면되기에 뷰로서는 신경쓸게 없다.
Controller는 파라미터를 꺼내고 HTTP요청이 제대로 맞는지 스펙을 확인한다,
잘못되면 오류를 내주며 튕기게해준다.
로직이 잘 맞다면 서비스나 리포지토리를 호출해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주문하거나 등의 로직들을 수행한다.그러고 나서 결과를 다시 컨트롤러 로직에 받는다.
다음 Model 데이터를 전달(ex.회원조회다라고 하면 회원목록을 model에 담는다) 다음 view로직에 넘기고 view가 model에서 값을꺼내서 출력해준다.
참고! > 컨트롤러에 비즈니스 로직을 둘 수도 있지만, 이렇게 되면 컨트롤러가 너무 많은 역할을 담당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비즈니스 로직은 서비스(Service)라는 계층을 별도로 만들어서 처리한다. 그리고 컨트롤러는 비즈니스 로직이 있는 서비스를 호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참고로 비즈니스 로직을 변경하면 비즈니스로직을 호출하는 컨트롤러의 코드도 변경될 수 있다!!
redirect vs forward
리다이렉트는 실제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에 응답이 나갔다가, 클라이언트가 redirect 경로로 다시 요청,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인지할 수 있고, URL 경로도 실제로 변경된다. 반면에 포워드는 서버내부에서 일어나는 호출이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전혀 인지하지 못한다.
MVC 패턴을 적용한 덕분에 컨트롤러의 역할과 뷰를 렌더링 하는 역할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특히 뷰는 화면을 그리는 역할에 충실한 덕분에, 코드가 깔끔하고 직관적이다. 단순하게 모델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꺼내고, 화면을 만들면 된다.
그런데 컨트롤러는 딱 봐도 중복이 많고, 필요하지 않는 코드들도 많이 보인다
공통 처리가 어렵다.
기능이 복잡해질 수 록 컨트롤러에서 공통으로 처리해야 하는 부분이 점점 더 많이 증가할 것이다. 단순히
공통 기능을 메서드로 뽑으면 될 것 같지만, 결과적으로 해당 메서드를 항상 호출해야 하고, 실수로 호출하지않으면 문제가 될 것이다. 그리고 호출하는 것 자체도 중복이다.
정리하면 공통 처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컨트롤러 호출 전에 먼저 공통 기능을 처리해야 한다. 소위 수문장 역할을 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프론트 컨트롤러(Front Controller) 패턴을 도입하면 이런 문제를 깔끔하게 해결할 수 있다.
(입구를 하나로!)
스프링 MVC의 핵심도 바로 이 프론트 컨트롤러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