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표
- 스터디를 통해 EKS의 정확한 개념과 사용 용도 및 방법, 필요성 습득
- 주니어 DevOps 엔지니어로서 한 단계 성장🆙
✅ 현황
- 업무 환경 : ECS로 인프라 운용 중
- 개인 환경 : EKS에 대한 대략적인 개념만 가지고 있으며, 실제 사용경험 없음
🏃 진행
EKS 컨트롤 플레인
![](https://velog.velcdn.com/images/yoni/post/fc13cc50-82b7-4d88-ba97-2475d6862206/image.png)
EKS 데이터 플레인
![](https://velog.velcdn.com/images/yoni/post/3ea20069-608e-4856-ac3a-746fd5016daa/image.png)
👀 음.. 사실 이렇게만 봤을 때 뭐가 뭔지 잘 이해가 안된다.
그래서 현재 내가 회사에서 관리중인 ECS 아키텍쳐를 EKS로 마이그레이션 한다는 생각으로 하나씩 차근차근히 접근 해보았다.
1-1. 컨트롤 플레인 - API 서버
- 나 대신 관리해주는 사람
- 뭐를? 노드를. 노드가 뭔데? ECS EC2
- ECS도 나 대신 관리를 해주지만, 내가 일일히 간섭을 해야함. 말하자면 가맹점 매니저 느낌
- API 서버도 나 대신 관리를 해주는 것. 하지만 직영점 매니저라 내가 신경 안써도 알아서 돌아가게끔 해주는 느낌
1-2. 컨트롤 플레인 - etcd
- 관리를 하면서 어떤 일이 발생하고 있는지 기록을 남기는 곳
❗️컨트롤 플레인은 EKS 리소스 사용 시 내가 모르는 AWS 어딘가에 Managed VPC에서 생성이 된다
2-1. 데이터 플레인과 ECS
![](https://velog.velcdn.com/images/yoni/post/a76b9195-d421-4896-9b81-71ddd34c3a0c/image.png)
- 내가 이해하는 EKS의 용어는 ECS의 이 용어들과 매칭되는 것 같다.
ECS | EKS |
---|
ECS 클러스터 | 노드 그룹 |
EC2 | 노드 |
Task | Pod |
ECS agent | kubelet, kube-proxy |
- 이러한 서비스들을 AWS에서 전체적으로 관리를 해주는게 앞서 말한 컨트롤 플레인이다.
🥕🥕🥕 이외에도 네트워크 관련 부분도 스터디 하였지만, 그 부분은 아직까지도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우선 이해한 만큼만 적어보았다. 욕심 부리다가 지치지 말고 하나씩 차근차근히 정리 해 나가야지! 어려워서 당근 흔드는 중 🥕🥕🥕
👉 2주차를 더 알차게 하기 위해서는
- Networking - VPC CNI, SG for Pods, AWS LB CTRL 를 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 부분들을 더 잘 배워가기 위해서는 1주차에 했었던 네트워크 부분을 확실히 복습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