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init
깃 초기화하기.
특정 디렉토리에 저장소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 이 명령어를 입력하고 나면 해당 디렉터리에서 깃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git init을 하고 나면 .git이라는 디렉터리가 생기게 된다. 이 디렉터리가 버전이 저장될 로컬 레포지토리.
작업트리 -> 스테이지 -> 저장소
작업트리는 우리가 눈으로보는 디렉터리를 의미함.
스테이지와 저장소가 .git 디렉터리에 있다고 보면 됨.
스테이지는 스테이징 영역(staging area)이라고도 불림.
git add
위의 명령어를 통해 작업트리에서 스테이지로 넣을 수 있음.
저장소는 스테이지에서 대기하고 있던 파일들을 버전으로 만들어 저장하는 곳.
git status
git log
위의 명령어를 통해 지금까지 커밋했던 기록을 살펴볼 수 있다.
지금까지 만든 버전이 화면에 나타나고, 각 버전마다 설명도 나타남.
commit 옆에 있는 이상한 숫자영어조합은 커밋 해시, 또는 깃 해시라고 부른다. 커밋을 구별하는 아이디쯤 된다.
커밋해시 옆에 있는 (Head -> main)은 이 버전이 가장 최신이라는 표시.
Author는 누가 버전을 만들었는지, Date는 버전이 언제 만들어졌는지를 나타냄.
이러한 정보들을 묶어서 커밋 로그라고 부른다.
나가고 싶으면 q를 누르면 된다.
git diff
작업 트리에 있는 파일과 스테이지에 있는 파일을 비교하거나, 스테이지에 있는 파일과 저장소에 있는 최신 커밋을 비교해서 수정한 파일을 커밋하기 전에 최종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
git add
위의 명령어를 통해 스테이징이 가능하다.
깃에게 버전 만들 준비를 하라고 알려주는 것을 의미함.
git commit -m 'message1'
위의 메시지를 통해 커밋할 수 있다.
혹시나 커밋하는데 메시지를 깜빡했을 경우,
요상한게 쏟아질 수가 있는데,
그럴 떄는 esc 누르고 콜론 입력 후에 wq 엔터 눌러주면 중단ㄱㄴ
git commit -am
위 명령어를 통해 스테이징과 커밋을 한번에 하는 것도 가능이다.
단 이 방법은 한 번이라도 커밋한 적 있는 파일을 다시 커밋할 때만 사용할 수 있다.
git init을 하면 로컬 레포지토리를 만드는 것이고, 거기에 add나 commit을 하여 버전관리를 할 수 있다.
근데 깃허브에 올려서 업로드를 하려면
git remote add origin 주소
를 해야 로컬 레포지토리랑 원격 레포지토리가 연결이 된다.
잘 연결이 되었다면 이런 표시가 떠야 정상이다.
원격 branch 삭제하는 법
git remote add origin 주소
git remote -v
git push origin --delete juno
원격 branch 생성하는 법
이미 존재하는 브랜치를 삭제하는 것과 달리 로컬 레포지토리에 로컬 branch를 만든 후에 그 자체를 푸시하는 방법이다.
git branch 새브랜치이름
git branch
git checkout juno
git push origin juno
그래서 나는 일단 삭제한 후에 로컬에 브랜치를 만들고 다시 푸시했는데, 이후에 변경되었을 때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난처하다.
npm start해보고 main 에 옮겨달라고 말해야될듯.
그 다음에 깃 푸시는 어떻게 하는가
git push origin ju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