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내 pc의 로컬 저장소에서 Git으로 관리되고 있는 프로젝트를 원격 저장소(github)에 연결하는 방법을 다뤄보려고 한다.
GitHub 계정과는 별개이며, 컴퓨터에 깔려있는 Git의 전체 설정에 사용자의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세팅 하는 것이다.
해당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사용자 이름"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사용자 이메일"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이 잘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 git config --global user.name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git init
명령 실행 전, 기본 브랜치명(default branch name)을 mian으로 변경하려면 다음 명령을 사용하면 된다.
⌨ git co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main
--global
옵션을 주었기 때문에 한번만 설정해 주면 된다.
브랜치명이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 git config --get init.defaultBranch
이제 git init
명령을 실행하면 기본 브랜치가 mian으로 표시된다.
해당 내용의 또다른 포스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면 된다.
https://velog.io/@yoonsik123/Git-Github
프로젝트를 git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git init
명령을 사용한다.
이 git init
명령을 실행하게 되면 해당 프로젝트 폴더에는 .git 폴더가 생성되게 되는데, 이때부터 git으로 관리되는 내용은 모두 이 .git 폴더에 저장되게 된다.
이 상태를 프로젝트가 git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한다.
위 설명과 같이 프로젝트 폴더가 git init
명령을 통해 git으로 관리되고 있는 상태라면 github에 새 레포지토리를 생성하고, 다음 3가지 명령을 이용하여 원격저장소(github)에 연결 및 업로드(push)가 가능하다.
⌨ git remote origin 원격저장소이름 주소(https://github.com ...)
git remote origin 원격저장소이름 주소(https://github.com ...)
여기서 orighin
은 기본적으로 정해지는 원격저장소의 이름이고 변경이 가능하다.
위의 명령어가 로컬저장소와 원격 저장소를 연결하는 명령이었다면,
반대로 연결을 해제하는 명령도 존재한다. 해당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git remote remove 원격저장소 이름
현재 연결되어 있는 원격 저장소가 어떤 것이 있는지, 연결 해제했을 경우, 제대로 해제가 되었는지 등 원격저장소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음 명령을 사용하면 된다.
git remote -v
⌨ git branch -M main
master
는 노예제도를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main
으로 변경하도록 권장되고 있다. 다음 명령은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어이다.git branch -M main
⌨ git push -u origin main
-u
옵션은 현재 push 하는 내역(브랜치)가 어느 원격저장소의 어느 브랜치와 연동이 되는지 고정으로 지정해 준다.git push -u origin main
https://ifuwanna.tistory.com/263
https://www.lesstif.com/gitbook/git-init-default-branch-name-main-12900770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