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전송 후 대기 프로토콜

Yoon Uk·2023년 4월 19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14/34
post-thumbnail

전송 후 대기 프로토콜(Stop-and-Wait Protocol)은 데이터 통신에서 가장 간단한 형태의 흐름 제어 프로토콜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송신자가 한 개의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자로부터 응답을 받을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수신자는 전송받은 프레임에 대해 확인(ACK) 또는 부정(NAK) 신호를 송신자에게 되돌려 보냅니다. 송신자는 ACK 신호를 받으면 다음 프레임을 전송하고, NAK 신호를 받으면 같은 프레임을 재전송합니다.

장점과 단점

장점

  • 구현이 간단합니다.
  • 오류 검출 및 복구가 쉽습니다.

단점

  • 효율성이 낮습니다.
    • 송신자는 매번 한 개의 프레임만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전송 성능이 느리고 채널의 활용도가 낮습니다.
    • 응답 신호가 유실되거나 지연되면 송신자는 타임아웃이 발생하여 재전송을 하게 되는데, 이때 중복된 프레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선방법

전송후 대기 프로토콜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슬라이딩 윈도우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이 프로토콜은 송신자와 수신자가 각각 윈도우라는 버퍼를 가지고, 윈도우 크기만큼 여러 개의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하고 응답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렇게 하면 채널의 활용도를 높이고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마무리

이상으로 전송 후 대기 프로토콜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데이터 통신에서 흐름 제어 프로토콜은 데이터의 정확한 전달과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슬라이딩 윈도우 프로토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