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습집합연산자UNION :중복이 제거되는 합집합중복을 허용하는 합집합MINIUS : 차집합INTERSETCT : 교집합논리 연산자 AND 그리고 '모두만족 할 시' /OR 또는' 하나만 만족하더라도& 몽땅'ㅋㅋ /NOT 조건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문제시 이외의 라는 말이
특정열에서 궁금한걸 불러 올때 \-자체조인은 FROM 절에 같은 테이블을 여러번 명시하되,테이블의 별칭만 다르게 지정하는 방식으로 사용합니다.이유는 자체조인은 조인조건에 해당하는데이터가 존재할 경우에만 출력하기 때문이다.SELECT E\* , M.EMPNO 관리자명FR
권한롤관리가 셋째마당넷쨰마당 데이터 반복처리SELECT \* FROM EMP \--ALL ()괄호 안 모든 조건 만족함수WHERE SAL > ALL(SELECT SAL FROM EMP WHERE DEPTNO=30);\--30번 부서 사원들의 최소 급여보다 많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저장되는 값의 변경 가능이름, 저장할 자료형을 지정1.변수이름 2. CONSTANT 3.자료형 4. : = 5.값 또는 값이 도출되는 여러 표현식;한번 저장한 값이 프로그램 종료시까지 유지CONSTANT 키워드 사용변수의 기본값 지정 D
SUM : 합계COUNT :데이터 개수 (NULL 값 있을 시 무시.)MAX : 최대값MIN:최소값AVG:평균값OVER : 라는 옵션을 준다면 전체 카운트 출력 / OVER 없이 GROUP BY 함수가 없다면 오류PARTITION BY : 파티션 나눠줌7-2 결과 값
오라클에서 새로운 연결통로로 시작할때 또 다른 세션에서는\*\* SET SERVEROUTPUT ON ; \*\*자료형이 다른 여러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코드1.레코드 이름 IS RECORD(2.변수이름 3.자료형 4.NOT NULL 5. :=(또는 DEFAULT)
커서에 지정한 select문이 여러 행을 결과값을 가질 경우에여러 방식의 loop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여러 행의 데이터를 커서에 저장하여 사용하기(loop문 사용) 커서의 dept테이블 조회 데이터를 저장할 변수를 선언합니다. 사용할 select문을 지정하여 커
는 특정처리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하는 저장 서브 프로그램으로 용도에 따라 파라미터를 사용 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CREATE 1. or replace PROCEDURE 2. 프로시저이름 3\. IS | AS선언부BEGIN실행부4\. EXCEPTION
SELECT 에서 을 입력 할 시에전체컬럼을 출력한다는 뜻조회하고 싶은 컬럼이 있을 시에는 SELECT EMPNO, ENAME, DEPTNO 입력 후에FROM EMP 파일명 입력중복 데이터를 삭제하고 싶은 경우에DISETINCT 입력후 중복삭제하고 싶은컬럼 입력 FR
제약조건(CONSTRAINT)은 테이블에 저장할 데이터를 제약하는 특수한 규칙을 뜻합니다. 제약 조건을 설정한 열에는 조건에 맞지 않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습니다.이 제약 조건은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며 12장에서 살펴본 데이터
데이터 베이스 스키마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간 관계, 데이터 구조, 제약 조건 등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해 정의한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범위를 스키마를 통해 그룹단위로 분류합니다. 사용자는 데이터를 사용 및 관리하기 위해 오라클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하는 개
데이터 구조 정의CREATE : 데이터 구조 생성ALTER : 구조 변경DROP : 구조 삭제RENAME : 이름 변경TRUNCATE : 테이블 초기화데이터 변형INSERT : 데이터 입력UPDATE : 데이터 수정DELETE : 데이터 삭제데이터 조회SELETE :
INNER JOINjoin 조건에서 동일한 값이 있는 행만 반환, USING 이나 ON 절을 필수적으로 사용(ANSI)https://calmmimiforest.tistory.com/113
집합 연산자 UNION 합집합 (중복 행은 1개로 처리), 자동으로 정렬 컬럼 수와 데이터 타입이 완전 일치해야함 UNION ALL 합집합 (중복 행도 표시) UNION ALL이 UNION보다 성능 우수 정렬 자동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컬럼 수와 데이터 타입이
\\d : 숫자\\D : 숫자가 아닌 모든 것\\w : 글자 (영어, 숫자, 한글) + \_ (언더바)\\W : 글자가 아닌 모든 것 (특수기호, 공백)\\s : 공백\\t : 탭\\n : 엔터\[\[:digit:]] : 숫자\[\[:alpha:]] : 문자\[\[: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