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Naver에 로그인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나는 Naver에게 내 정보를 줄 수 있을 정도로 믿고 있다"와 같다. 내 아이디, 비밀번호뿐만 아니라 심지어 주소, 카드번호, 전화번호, 계좌 비밀번호 등을 알려주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런 특정 웹사이트들을 어떻게
ISO 국제표준화기구에서 1984년에 제정한 표준 규격옛날에는 같은 회사에서 만든 컴퓨터끼리만 통신이 가능했었다 다른 회사 시스템과도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네트워크 유형에 관계없이 상호 통신이 가능한 규약인 프로토콜을 ISO에서 제조사에 관계없이 공통으로 사용할
HTTP/1.1, HTTP/2는 TCP 기반이며, HTTP/3는 UDP 기반 프로토콜이다.클라이언트 서버 구조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그에 대한 응답을 보내는(Request Response) 클라이언트 - 서버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무상태 프로토콜HTTP는
현재 내가 접속한 사이트가 보완된 웹 사이트인지 가장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지금 보고 있는 화면의 주소 바 옆에 있는 자물쇠 아이콘을 눌러 보면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아이콘을 누르면 아래의 사진과 같이 "이 사이트는 보안 연결(HTTPS)이 사용되었
서버가 Client에 유일하게 암호화된 ID를 부여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해 쿠키는 그 데이터에 대한 ID만 암호화된 상태로 부여를 한다.클라이언트에 CooKie를 전송해 여러가지 정보를 저장했었지만 쿠키는 유저가 삭제하지 않고 유효기간이 정해지지 않는다면 영원히 존재할
복호화가 가능한 다른 암호화 방식들과 달리, 해싱은 암호화만 가능합니다.해싱은 해시 함수(Hash Function)을 사용하여 암호화를 진행하는데, 해시 함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항상 같은 길이의 문자열을 리턴합니다.서로 다른 문자열에 동일한 해시 함수를 사
세션 기반 인증은 서버(혹은 DB)에 유저 정보를 담는 인증 방식이었습니다. 서버에서는 유저가 민감하거나 제한된 정보를 요청할 때마다 "지금 요청을 보낸 유저에게 우리가 정보를 줘도 괜찮은가?" 를 확인하기 위해 클라이언트가 보낸 세션 id를 가지고 있는 세션 객체와
✨ Intro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네트워크는 컴퓨터 기술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분야가 됐다. 우리는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해 필요한 정보를 찾고 사람들과 연락을 주고받을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어디서부터 시작되었을까?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IP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