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준 입력 장치
a = input("너가 쓰고 싶은 메시지 : ") # input() : 키보드로 입력한 값을 출력하는 명령어, input으로 입력된 값은 모두 문자로 인식
print(a)
print(type(a))
b = int(a) # 정수 전환
c = float(a) # 실수 전환
print(b)
print(type(b))
print(c)
print(type(c))
import math
num = input("아무거나 숫자 입력 : ")
print("이것은 ", num)
print("이것은 x2 ", num*2) # 문자 형태이기 때문에 *2는 같은 문자를 두 번 출력
# num의 상태는 아직 문자
# num을 숫자(정수)로 자료형 변환이 필요
# math라는 도구모음집을 활요하여 제곱근 쓰는 명령어를 찾아야 함(sqrt)
print("이것의 제곱근 : ", math.sqrt(int(num)))
# 표준 출력 장치
# print(Value, sep, end)
# print("010","1234","5678",sep="-", end="끝")
# sep : seperate를 의미(분리한 부분에 어떤 값을 넣고 싶은지)
# end : 마지막에 어떤 값을 넣고 싶은지
print("정국","RM","뷔","슈가","지민","진","제이홉",sep=" 존잘 ",end=" BTS 짱")
help(print) # help() : 어떤 명령어인지, 어떤 인수를 사용할 수 있는지 표시해주는 명령어
# format 함수
import math
name = "윤영채"
# mbti = "infp".capitalize() -> Infp, capitalize() : 첫 문자를 대문자로 출력하는 명령어,
mbti = "infp".upper() # upper() : 모든 문자를 대문자로 출력하는 명령어
sex = "남자"
place = "망원동"
# a = math.sqrt() # .은 math 중 sqrt라는 명령어를 사용하겠다는 의미
print("이름은 {}, MBTI는 {}, 성별은 {}, 사는 곳은 {}".format(name, mbti, sex, place)) # str형식 뒤에 .이 온 것은 문자형식을 어떠한 명령어를 통해 출력하겠다는 의미, 여기서는 format()
# format() : 대괄호({})안에 문자를 넣어주는 명령어
name = input("이름은 : ")
mbti = input("MBTI는 : ")
sex = input("성별은 : ")
place = input("사는 곳은 : ")
print("이름은 {}, MBTI는 {}, 성별은 {}, 사는 곳은 {}".format(name, mbti, sex, place), end="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