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차 C++ 이론 : 스코프 / 람다 표현식
3일차 STL : 컨테이너 어댑터와 비트셋 컨테이너
리눅스 기초(2)
최대 크기를 알고 있다면 reserve 함수를 통해 capacity를 확보하자!
블럭 스코프( { } : 경계 역할 ) = 지역 변수 소멸 시점
static 키워드 : 전역 변수이면서 블럭 스코프를 가짐
람다 표현식 : 익명의 함수를 정의
캡쳐문 : 함수 몸체에서 외부 변수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
람다 표현식을 통해 만들어지는 클로져에 대해 아직 잘 모르겠다!
아직 모르는 게 많지만 수업으로 한 번, 복습으로 두 번, 과제로 세 번, TIL로 네 번 보는 과정에서 그래도 조금이나마 이해가 되고 있는 것 같다.
막상 쓰려면 잘 안 써지겠지만 계속해서 복습하는 것이 중요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