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강의를 듣고 정리하는 글입니다.
강의링크 5강. 파이썬 문법 : 문자열, 튜플 자료형
📌 문자열 자료형
- 문자열 변수 초기화 : 큰 따옴표(””) or 작은 따옴표(’’)
- 문자열 안에 따옴표를 넣어야 할 때
- 전체 문자열을 큰따옴표로 감쌀 때는 내부에 작은 따옴표 포함 가능.
- 반대도 O.
- 또는 백슬래시(**)를 사용하면 어디든지 포함 가능.
- ex. data = “Don’ you know \”Python\”**?”
📌 문자열 연산
- 문자열 변수에 덧셈(+)을 이용하면 연결됨
- 곱셈(*)을 이용하면 그 문자열이 여러번 반복되서 출력.
- 문자열에 인덱싱과 슬라이싱 사용 가능.
- Immutable과 같은 특정 인덱스의 값은 변경 불가
- a = “Hello” a[2] = ‘a’
- 문자열 자료형은 원소할당 불가능.
📌 튜플 자료형
- 튜플은 리스트와 유사
- but, 튜플은 한 번 선언하면 값을 변경할 수 없음!!
- 리스트는 대괄호([]), 튜플은 소괄호(())
- 리스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간 효율적임.
- 튜플은 값 변경 불가능한 객체라 원소 할당 연산 지원 하지 않는다는 에러 발생
📌 튜플을 사용하면 좋은 경우
- 서로 다른 성질(실수, 정수 등)의 데이터를 관리해야 할 때
- ex. 최단 경로 알고리즘에서 튜플 자료형 자주 사용.
- 데이터의 나열을 해싱의 키 값으로 사용해야 할 때
- 튜플은 변경 불가하니 키 값으로 사용될 수 있음.
- 리스트보다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