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를 위한 쿠버네티스 안내서 - k8s 설치(mac os)
참고
쿠버네티스 안내서
쿠버네티스 운영 환경 VS 개발 환경
운영 환경
- 최소 3대의 마스터 서버
- n개의 노드 서버(컨테이너 배포를 위한)
- 설치 복잡, 배포 환경에 따라 방법이 다르다
개발 환경(minikube)
- 서버 1대
- 스케줄링 불가능, 서버가 죽으면 상태 유지를 위해 다른 서버를 뛰우는 것도 불가능, 로드밸런서 테스트 힘듬
minikube with hyperkit
- mac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hyperkit에 가상 머신 할당
- 할당된 가상 머신에 k8s를 설치
- 만약 hyperkit 방식이 안되면 virtual box를 사용하라
minikube
- minikube가 필요한 컨테이너(ex. controller, scheduler, etcd)를 모두 알아서 띄워준다.
- minikube ip를 통해 웹서버가 잘 떳는지 확인
k3s
- minikube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사용하는 방식
-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 AWS를 이용하여 가상 머신을 만들고 해당 가상머신에 k8s 테스트 환경을 구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