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program이 다른 program(기능) 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Interface
-특정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꼭 지켜야하는 약속(contract)이라 할 수 있다.
-CDN(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은 지리적으로 분산된 여러 개의 서버다.
-웹 콘텐츠를 사용자와 가까운 곳에서 전송함으로써 전송 속도를 높인다.
-파일 복사본을 임시로 저장하는 프로세스인 캐싱을 사용한다.
-웹 페이지, 이미지, 비디오 등의 콘텐츠를 사용자의 물리적 위치와 가까운 프록시 서버에 캐싱한다.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의 리소스(메모리, 저장장치, CPU)를 사용한다.
-여기서 컴퓨터의 리소스는 컴퓨터를 이루고 있는 메모리, 저장장치(하드디스크, SSD),CPU 등을 말한다.
-복제된(replicated)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API 객체
-각 레플리카는 각각 하나의 Pod로 대표되며, 그러한 Pod들은 클러스터 내 노드들에 걸쳐 배포된다.
-ReplicaSet(+Pod)을 생성한다.
-DNS는 브라우저가 인터넷 자원을 로드할 수 있도록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합니다.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사람이 쉽게 기억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로 만든 '인터넷 주소'다.
정의
특징
-미리 정의된 보안 규칙에 기반한, 들어오고 나가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이다.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이루어지는 요청/응답(request/response)프로토콜이다.
-주로 HTML 문서를 주고받는 데에 쓰인다. 주로 TCP를 사용하고 HTTP/3 부터는 UDP를 사용하며, 80번 포트를 사용한다.
-통신 프로토콜인 HTTP의 보안이 강화된 버전이다.
-소켓 통신에서 일반 텍스트를 이용하는 대신에, SSL이나 TLS 프로토콜을 통해 세션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따라서 데이터의 적절한 보호를 보장한다.
-기본 TCP/IP 포트는 443이다.
-인터넷 사용 가능한 기기(LAN card)마다 IP 있음.
-URL은 IP를 사람이 알아보기 쉽게 영어로 나타낸 것. (전화번호부 저장 이름 - 전화번호관계와유사)
-통신의 종단점 End Point
-하나의 IP주소에 여러 port로 서비스를 할 수 있다. (HTTP:80, HTTPS:443)
-IP 주소가 특정 URL과 연결됨을 알려주는 서버
-HTTP Server로서 정적 파일을 Serve 해준다.
-포트 53에서 쿼리에 반응하며 최종 사용자를 인터넷 상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경로를 지정해 준다는 의미
-스케일 업(Scale up) : 인스턴스의 부품을 즉 해당 임대한 컴퓨터의 CPU 나 각종
성능 관련 부품을 업그레이드 하는것 ( 비용 발생)
-스케일 다운(Scale down) : 인스턴스의 부품을 즉 해당 임대한 컴퓨터의 CPU나
각종 성능 관련 부품을 다운 그레이드 하는것 (비용 감소)
-악의적인 사용자가 보안상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임의의 SQL 문을 주입하고 실행되게 하여 데이터베이스가 비정상적인 동작을 하도록 조작하는 행위 입니다.
-User 가 Program 을 사용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상호작용)
-일반적으로 웹(WWW) 공간을 임대(hosting)하는 것을 웹호스팅이라고 한다.
-정적인 파일, static파일들을 웹에 호스팅 해주는 것 (javascript도 static파일로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