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팅에서 무상태 프로토콜(stateless protocol)은 어떠한 이전 요청과도 무관한 각각의 요청을 독립적인 트랜잭션으로 취급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통신이 독립적인 쌍의 요청과 응답을 이룰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무상태 프로토콜은 서버가 복수의 요청 시간대에 각각의 통신 파트너에 대한 세션 정보나 상태 보관을 요구하지 않는다. 반면, 서버의 내부 상태 유지를 요구하는 프로토콜은 상태 프로토콜(stateful protocol)로 부른다.
Server의 response가 Client와의 세션과 독립적이다
즉, 사용자(브라우저)의 이전 상태 쿠키와 세션 정보를 기록하지 않는 접속을 의미한다.
브라우저가 데이터를 전송할 때마다 연결하고 바로 끊어 버리는 방식이다.
Server와 Client간의 연결을 계속 유지해 주지 않아 자원의 활용에서 좀더 효율적이다.
요청 시마다 상태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
stateless와 반대로 Server의 response가 계속 연결 되어있어 client의 이전 상태를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출처]
https://akdl911215.tistory.com/290
https://junshock5.tistory.com/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