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Internet Protocol)
![](https://velog.velcdn.com/images/yuiseo/post/1a7ed43d-5cbb-4236-9a22-e115475758e8/image.png)
- 데이터를 작게 자른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역할
- 비연결성
- 비신뢰성
IP 주소
![](https://velog.velcdn.com/images/yuiseo/post/86e729a7-dc35-4428-82f9-4de13b032e8a/image.png)
- 32bit 길이로 구성
- 최대 약 43억개 IP 주소 할당 가능
- 하나의 IP주소를 네트워크 부분, 호스트 부분으로 구분
네트워크, 호스트 부분 구분 방법
1. 클래스
- 클래스 별로 할당할 수 있는 호스트의 개수 차이가 큼
2. CIDR
- 서브넷 마스크의 연속된 1의 자릿수로 호스트 부분 구분
- CIDR 표기법
![](https://velog.velcdn.com/images/yuiseo/post/0a09d684-41b5-474f-b021-fab3d718d3bb/image.png)
주소 고갈 해결
- 고정IP 대신 유동IP 사용
- 같은 네트워크 안에서는 공인IP대신 사설IP 사용
외부와 통신할 땐 NAT으로 IP 변환
- IPv6 -> 차세대 IP (128bit)
2001:0bd8:85a3:08d3:1319:8a2e:0370:7334
Reference
이 문서는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는 웹/HTTP/네트워크 (임지영 저)를 읽고 정리한 문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