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BASICS

YU NA Joe·2022년 8월 14일
0

public class HelloWorld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안녕세상아!");
}
}

====================

public은 접근 제어자
class HelloWorld는 HelloWorld라는 클래스 정의

즉, 첫 줄은 'HelloWorld라는 이름의 공개된 클래스를 만든다'는

클래스 안에는 클래스가 어떤 동작을 할 지 정의해 주는데, 이 부분을 메소드라고 부릅니다. (클래스 안에 정의된 함수

즉 HelloWorld 클래스 안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main - 메소드(함수) 이름
==>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가장 먼저 main을 찾아서 실행
==>
public static void, main 메소드의 특징을 설명해주는 말로, 항상 main과 함께 나오게 됩니다.
String[] args - 파라미터, args라는 문자열 배열

public 접근제어자
static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중요!
static을 써주면 그 부분을 바로 실행 가능

void - 메소드(함수)의 리턴 값의 자료형 (void경우 리턴 값이 없음)
void는 되돌려주는 값이 없다는 의미.

String[] args==>
괄호 ( ) 안에 위치하고 있죠? 괄호 안에 있다는 것은 메소드에 전달되는 값

String[]은 문자열을 의미하고, 뒤에 있는 args는 변수 이름

즉, args라는 이름의 문자열 변수가 메소드에 전달된다는 뜻

요양ㄱ

main 메소드가 있습니다.
이 main 메소드는 누구나 접근할 수 있고 (public), 바로 실행할 수 있고 (static), 아무 것도 되돌려주지 않습니다. (void)

나중에 main 메소드에 전달해주고 싶은 값이 있다면, 문자열 형태로 전달해야 하며, main 메소드 안에서 'args' 라는 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System.out.println("안녕세상아!");

System.이라는 클래스의
out이라는 변수의
println이라는 메소드 호출
parameter의 문자열, 안녕세상아 출력

즉,
System.는 말 그대로 입력, 출력 등 시스템에 관련된 기능들을 모아둔 클래스

println 역시 기능을 구현한 부분이기 때문에 메소드라

cf. println과 print의 차이

public class HelloWorld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안녕세상아!");
System.out.print("안녕");
System.out.print("세상아!");

}

}
안녕세상아!

안녕세상아!

변수

public class Variable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age;
age = 28;
int age2 = 30;
System.out.println(age);
System.out.println(age2);
System.out.println(age+age2);

    age = age + 10;
    System.out.println("age 변수에 10을 더해보쟈");
    System.out.println(age);

    // java에서는 변수의 자료형을 지정하기 때문에, 자료형 외에 값을 넣어주면 오류가 난다.
    // int age3 = "Thrity";
    
    

}

}

=============================================
자료형

숫자를 담는 자료형은 정수형 byte, short, int, long, 그리고 소수형 float과 double이
float과 double은 둘다 소수형을 담지만 정밀도(Precision) 혹은 정확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double이 더 정밀하게 값을 보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자바에서는 double을 소수형의 기본으로 사용

정수를 입력하면 기본적으로 int로 인식되듯이, 소수를 입력하면 기본적으로 double로 인식

글자 char,

글자(Character) 하나를 담는 자료형 char도 있습니다. char은 딱 글자 하나만 넣어줄 수 있고, 작은 따옴표로 글자를 둘러싸야 합니다. 글자 여러 개를 담고 싶으면 큰 따옴표로 둘러싸고 아래에서 배울 String이라는 자료형을 사용
. char은 딱 글자 하나만 넣어줄 수 있고, 작은 따옴표로 글자를 둘러싸야 합니다

글자 여러 개를 담고 싶으면 큰 따옴표로 둘러싸고 아래에서 배울 String이라는 자료형을 사용

=============

// 정수형
byte a = 127;
int b = 30; // 정수형 default
short c = 100;
long d = 12345678910L; // long을 표현하기위한 리터럴은 뒤에l(소문자 엘)또는 L(대문자 엘)을 붙여준다.
System.out.println(a);
System.out.println(b);
System.out.println(c);
System.out.println(d);

    // 소수형
    double e = 3.14; // 실수형 default
    float f = 3.14f;
    
    // 글자
    char a1 = 'a';
    char a2 = 97;  // 'a'에 해당하는 ASCII 값
    char a3 = '\u0061'; // 'a'에 해당하는 유니코드 값

    System.out.println(a1);
    System.out.println(a2);
    System.out.println(a3);

    // 불린
    boolean myBoolean = true;
    boolean myBoolean2 = false;
    System.out.println(myBoolean);
    System.out.println(myBoolean2);

    /**
    String은 기본 자료형이 아니라 클래스
     ""(큰 따옴표)를 사용한다.
     **/
    String str = "My name is ";
    String str2 = "여나당";


    System.out.print(str);
    System.out.print(str2);

=====================================

실습
답과 다른점은?

답은 먼저 자료형먼저 써줬다

=====================================

연산자

숫자 연산자

=====================================
형변화

.

는 형(to)이 기존의 형(from)보다 넓은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자료형일 경우 특별한 처리 없이 형을 변환가능하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