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버전 16.8부터 React 요소로 새로 추가된 기능이다.
기존 Class 기반의 코드가 아니어도 상태값 등을 사용해 함수형 방식의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
또한, Hook을 통해 서로 비슷한 것을 하는 작은 함수의 묶음으로 컴포넌트를 나누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로직의 추적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리듀서를 활용해 컴포넌트의 지역 상태 값을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https://ko.reactjs.org/docs/hooks-intro.html 참고)
this같은 문장 규칙, render를 사용하는 방법을 생각했어야 했음
이 글에선 Nomad Coder 강의로 배운 종류만 기록한다.
const [ item, setItem ] = useState();
const item = useState(1)[0]<h1> { item } </h1> const plusItem = () ⇒ setItem(item + 1);
useEffect(function, [dependency]);
component가 mount 되자마자, 또는 화면이 새로고침되면 실행된다.
두 개의 인자는 function으로써의 effect, dependency를 가진다.
componentWillUnmount와 같다.만약 dependency에 빈배열( [] )이 들어있다면 component가 mount되었을 때 한 번만 실행되고 더이상 실행되지 않을 것이다.
componentWillUnmount, componentDidMount, componentWillUpdate와 비슷함
dependency에 빈배열이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useEffect안에 function을 넣으면 componentDidMount, componentDidUpdate때 호출될 것임
componentDidMount일 때만 호출됨componentWillUnmount 로부터 function 리턴 받음. 이를 Clean Up Function이라 부른다!
const refContainer = useRef (initialValue);